[한자 이야기]<531>陶盡門前土, 屋上無片瓦

  • 입력 2008년 10월 21일 02시 58분


陶(도)의 의미요소 부(부)는 阜(부)의 변형으로 언덕이나 흙과 관련됨을 나타낸다. 陶器(도기) 즉 질그릇 또는 흙을 구워 만들다의 뜻이다. 기르다 또는 교화하다의 뜻도 있다. 陶冶(도야)는 도기를 만들고 금속을 주조하는 것으로, 품성을 수양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일을 비유한다. 薰陶(훈도)는 덕으로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선하게 함을 뜻한다. 陶醉(도취)처럼 즐기며 만족해하다의 뜻도 있다.

盡(진)은 그릇인 皿(명)이 의미요소이다. 손에 솔을 들고 그릇을 씻는 모양에서 변모했다. 그릇이 빈 것으로부터 다하다 또는 없어지다의 뜻으로 이어졌다. 盡力(진력)은 힘을 다하다, 消盡(소진)은 다 써서 없애다의 뜻이다. 위의 陶盡(도진)은 도기를 만들어 흙을 다 없애다의 뜻이다.

屋(옥)은 집 또는 지붕을 가리킨다. 尸(시)는 주인을 가리킨다는 설과 벽에 덮개를 올린 집의 모양이라는 설이 있다. 至(지)는 이르러 쉬는 것을 의미하며 室(실)의 경우와 같다. 屋漏痕(옥루흔)은 지붕이 샌 흔적으로, 천장에 아롱진 빗물자국처럼 자연스럽고 생동감이 있으며 붓을 대거나 뗀 흔적이 없는 초서의 한 필법을 가리킨다.

片(편)은 나무를 세로로 쪼갠 오른쪽이다. 왼쪽은 장(장)이다. 조각 또는 얇고 편편한 모양의 것을 가리키며 또 그런 것을 세는 말로도 쓰인다. 片面(편면)은 한쪽 면, 片刻(편각)은 짧은 시간이다. 瓦(와)는 기와가 아래위로 연결된 것을 본떴다. 기와 외에 도기의 총칭으로도 쓰인다.

도공의 집 지붕에 기와 한 장 올릴 수 없다면 크게 잘못된 사회이다. 宋(송) 梅堯臣(매요신)의 ‘陶者(도자)’에 보이는 구절이다. 宋(송) 張兪(장유)는 ‘蠶婦吟(잠부음)’에서 “온 몸에 비단 두른 이는 양잠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도 했다.

오수형 서울대 교수·중문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