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574>畵水無風偏作浪, 繡花雖好不聞香.

  • 입력 2008년 12월 19일 03시 00분


畵(화)는 그림 또는 그리다의 뜻이다. (화,획)(화)는 속자인데 오히려 원래의 모습에 더 가깝다. 윗부분인 聿(율)은 筆(필)의 본래글자로 손으로 붓을 잡은 모습을 나타냈으며, 아랫부분은 밭의 사방 경계를 나타냈다. 본래는 경계를 긋거나 구분한다는 뜻이며, 지금도 그런 뜻이면 ‘획’으로 읽으며 劃(획)과 통한다.

偏(편)은 偏食(편식)이나 偏見(편견)처럼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다. 偏僻(편벽)처럼 외지다는 뜻도 있다. 不偏不黨(불편부당)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공정하다는 뜻이다. 여기서처럼 부사로 쓰이면 객관적 요구나 상황에 맞지 않음을 나타내며 ‘굳이’ 또는 ‘기어코’에 해당한다. 또 기대에 어긋남을 나타내어 ‘뜻밖에’로 풀이되기도 한다.

作(작)은 만들다 또는 일으키거나 일어나다의 뜻이 있다. 浪(랑)은 물결 또는 파도이다. 無風作浪(무풍작랑)은 까닭 없이 是非(시비)나 事端(사단)을 일으키는 것을 비유한다. 無風起浪(무풍기랑) 또는 無風揚波(무풍양파)라고도 한다.

繡(수)는 刺繡(자수)처럼 헝겊에 색실로 떠놓은 그림이나 글자이다. 수를 놓다의 뜻도 된다. 수(수)와 같은 자이다. 繡衣夜行(수의야행)은 수놓은 옷을 입고 어두운 밤길을 가는 것으로, 생색이 안 나는 공연한 자랑을 비유한다. 錦衣夜行(금의야행)도 같은 뜻이다. 雖(수)는 ‘비록’에 해당한다. 聞(문)은 듣는다는 뜻 외에 냄새를 맡는다는 뜻도 있다.

사람의 일에는 한계가 많다. 때로는 엉뚱한 언행으로 큰 풍파를 일으키기도 하고, 때로는 그럴듯하지만 불완전하거나 실속이 없다. 사람이 하는 일에 잘못이 없을 수는 없는데, 더 큰 문제는 잘못을 모르고 스스로 완전한 줄 아는 데에 있다. ‘增廣賢文(증광현문)’에 보인다.

오수형 서울대 교수·중문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