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軍은 대군을 말하는데 대개 제후가 지닐 수 있는 軍勢(군세)를 말한다. 一軍(일군)은 1만2500명의 군사로 편성됐다. 三軍 가운데 中軍(중군)의 大將(대장)을 帥(수)라 하며 이 帥가 삼군 전체를 통솔했다. 三軍可奪帥也에서 三軍은 주어가 아니라 대상을 한정해서 제시하는 말이다. 곧 ‘삼군에서는’이라는 말이다. 전체 문장의 주어는 생략됐다. 匹夫不可奪志也도 같은 짜임이다. 匹夫는 한 남자라는 뜻이다. 본래 匹夫匹婦(필부필부)라고 하면 一夫一妻(일부일처)로 가족을 이루는 평민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신분상의 개념이 아니다.
三軍은 아무리 수가 많아도 군사의 마음이 합치해 있지 않으면 그 대장을 붙들어 올 수 있다. 또 三軍의 용맹함은 개별적 주체에게 있지 않고 남들의 집합에 있으므로 그 대장을 붙들어 올 수가 있다. 하지만 志는 나에게 있는 것이기에 남이 빼앗아갈 수가 없다. 志를 지닌 인간은 부귀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빈천하다고 해서 절개를 바꾸지 않으며 위세에 굴복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맹자는 “志는 氣(기)의 장수이다”라 했고, 또 “선비는 志를 숭상한다(士尙志·사상지)”고 했다. 이황은 맹자의 말에서 발단하여 선비가 무엇을 숭상하는가에 따라 한 시대가 융성하기도 하고 타락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당시의 선비들이 무엇을 숭상하고 있는지 ‘책문’에서 물었다. 지금 우리는 과연 志를 숭상하는가, 志를 훼손시키는 다른 무엇을 숭상하는가?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