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 처음에 대답한 “足食足兵民信之矣”에 대해서 조선 선조 때 교정청은 “足食足兵이면 民信之矣리라”라고 현토했다. 주자의 ‘집주(集注)’가 “창고가 가득히 쌓여 있고 무기를 갖춘 다음에 교화가 실행되고 백성이 나(군주)를 신임하게 되는 법이다”라고 풀이한 것을 근거로 했다. 하지만 정약용은 그 세 가지는 각각 하나의 일이므로 서로 관련지어 볼 수가 없다고 했다.
子路(자로)가 정치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는 “先之勞之(선지로지)”라 했다. 몸소 먼저 하며 백성의 일에 수고해야 한다는 뜻이다. 자로가 더 여쭙자 공자는 “無倦(무권)”이라고 답했다. 게을리 말라는 뜻이다. 자로에게는 정치가의 자세에 대해 말하고, 자공에게는 정치의 근본 요체를 말한 것이다. 둘 다 현대의 정치가가 귀 기울여야 할 말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