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나라 宣王(선왕)은 연나라와의 국지전에서 이기자 그것을 하늘이 준 기회라고 여겨 연나라를 공략해 멸망시킬 생각이었다. 그래서 맹자에게 연나라를 멸망시켜도 좋지 않겠느냐고 물었으나, 맹자는 연나라를 취해서 연나라 백성들이 기뻐한다면 연나라를 멸망시키되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 영토를 취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맹자는, 연나라 백성들이 제나라 왕의 군대를 환영한 것은 자신들을 물과 불의 가운데에서 구해줄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었음을 환기시키고 연나라의 종묘를 부수고 중요한 기물들을 옮겨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맹자는 제나라가 어진 정치를 시행하지 않고 연나라를 멸망시켜 영토를 곱절로 만든다면 다른 제후들로 하여금 토벌군을 일으키게 만들리라고 경고했다. 이어 虐政(학정)에 시달리던 연나라 백성들을 위로하고 그 나라 민중들과 상의해 어진 군주를 세워준 뒤 떠나는 것이 옳다고 조언했다.
反其모倪의 反은 돌려보낼 還(환)과 같다. 모(모)는 노인, 倪(예)는 어린이로 虜略(노략)했던 노약자들을 가리킨다. 重器는 앞에서 나왔듯이 寶物(보물)을 뜻한다. 猶는 오히려 尙과 같다. 及止는 전란이 발발하기 이전에 중지시킨다는 말이다.
맹자는 제나라와 위나라 군주를 섬길 때 征伐(정벌)을 논하면 반드시 湯王(탕왕)과 武王을 일컬었다. 范祖禹(범조우)가 지적했듯이 군대를 출동시킴에 湯王과 武王을 본받지 않는다면 정당성을 상실한 亂(난)이 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었다. 征伐이나 亂이냐의 차이는 정말 미세하다. 현대의 전쟁에서도 이 점을 잘 헤아려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