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성 전문기자의&joy]숲은 사람이 없어도··· 사람이 숲 없이는

  • Array
  • 입력 2011년 4월 15일 03시 00분


광릉수목원 트레킹

하늘이 몽땅 내려와 앉은 수생식물전시원 연못. 거울처럼 맑고 담담한 연못물에 연초록 봄빛이 가득하다. 각시수련 노랑어리연꽃 가시연꽃은 아직 물속에서 숨을 죽이고 있다. 부레옥잠 애기부들 꽃창포 미나리도 이제 겨우 살짝 연둣빛을 띠고 있다. 목련꽃과 산벚꽃은 아직 멀었다. 노란 풍년화 복수초 산수유 생강나무 히어리꽃만이 꽃망울을 덕지덕지 매달고 있다. “구국! 구국!” 멧비둘기들이 뭉툭한 못 긁는 소리를 질러댄다. “삐.삐.삐.“ 동고비 울음소리가 짧고 날카롭다. 하지만 “딱! 딱! 딱!” 광릉크낙새의 나무장단 소리는 더는 들리지 않는다. 광릉수목원=서영수 전문기자 kuki@donga.com
하늘이 몽땅 내려와 앉은 수생식물전시원 연못. 거울처럼 맑고 담담한 연못물에 연초록 봄빛이 가득하다. 각시수련 노랑어리연꽃 가시연꽃은 아직 물속에서 숨을 죽이고 있다. 부레옥잠 애기부들 꽃창포 미나리도 이제 겨우 살짝 연둣빛을 띠고 있다. 목련꽃과 산벚꽃은 아직 멀었다. 노란 풍년화 복수초 산수유 생강나무 히어리꽃만이 꽃망울을 덕지덕지 매달고 있다. “구국! 구국!” 멧비둘기들이 뭉툭한 못 긁는 소리를 질러댄다. “삐.삐.삐.“ 동고비 울음소리가 짧고 날카롭다. 하지만 “딱! 딱! 딱!” 광릉크낙새의 나무장단 소리는 더는 들리지 않는다. 광릉수목원=서영수 전문기자 kuki@donga.com
《나도 봄 산에서는/ 나를 버릴 수 있으리/ 솔 이파리들이 가만히 이 세상에 내리고/ 상수리나무 묵은 잎은 저만큼 지네/ 봄이 오는 이 숲에서는/ 지난날들을 가만히 내려놓아도 좋으리/ 그러면 지나온 날들처럼/ 남은 생도 벅차리/ 봄이 오는 이 솔숲에서/ 무엇을 내 손에 쥐고/ 무엇을 내 마음 가장자리에 잡아두리/ 솔숲 끝으로 해맑은 햇살이 찾아오고/ 박새들은 솔가지에서 솔가지로 가벼이 내리네/ 삶의 근심과 고단함에서 돌아와 거니는 숲이여…》
-김용택의 ‘그대 생의 솔숲에서’ 부분
광릉숲은 정갈하다. 잘 가꿔진 사대부집 정원 같다. 나무들이 훤칠하다. 잣나무는 늘씬하고, 소나무는 귀공자처럼 우아하다. 잣나무 숲은 어둑 축축하고, 소나무 숲은 밝고 고슬고슬하다. 바닥엔 황갈색 바늘 침이 가지런하게 누워 있다. 밟으면 푹신하다. 무릎이 편안하다.

연못에선 올챙이들이 왁자하다. 꼬물꼬물 앙증맞다. 깨어난 알집은 흐물흐물 뭉게구름처럼 풀어져 번진다. 깊은 곳에선 색동잉어들이 텀벙거리며 물장구를 친다. ‘삐. 삐. 삐.’ 동고비의 울음소리가 짧고 높다. 빨간 머리가 햇살에 구워져 진한 주황색 같다.

광릉숲은 조선 세조 임금이 누워 있는 왕릉 숲이다. 그 누구도 말을 타고 이곳에 들어올 수 없었다. 1468년 세조가 묻힐 때부터 나라의 엄격한 보호를 받았다. 함부로 나무를 베었다간 목이 달아났다. 땔감도 할 수 없었으며 산불을 철저히 막았다.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를 옮겨 심었다. 면적은 22.4km²(약 678만 평)로 동서 약 4km, 남북 8km에 이른다. 이 중 약 1km²(약 30만 평)가 일반인에게 개방되고 있다. 식물은 모두 3344종이 있으며 이 중 983종이 이곳에서 자생하는 것이다.

광릉숲의 봄은 늦다. 서울보다 한참 더디 온다. 광릉숲은 죽엽산(607m)-소리봉(537m)-물푸레봉(478m)으로 둘러싸인 우묵배미 땅이다. 보통 숲 속의 기온은 숲 밖보다 5도 정도 낮다. 하지만 숲 속의 일교차는 하루 5도를 넘지 않는다. 봄은 천천히 오지만, 그렇다고 저잣거리의 봄처럼 후다닥 달아나지도 않는다. 광릉숲의 연평균 최저기온은 3.7도, 최고기온은 16도이다. 겨울 숲은 춥지 않고, 여름 숲은 덥지 않다.

자주색 제비꽃 얼레지꽃이 이제야 배시시 웃고 있다. 하얀 노루귀꽃, 노란 풍년화꽃도 보인다. 연노랑 히어리꽃이 우르르 피었다. 미선나무도 막 꽃봉오리가 열리고 있다. 벌거벗은 참나무 꼭대기엔 새집들이 덩그렇게 걸려 있다. 까치들 소리가 유난히 시끄럽다.

‘망치도 없고, 설계도도 없다/접착제 하나 붙이지 않고, 못 하나 박지 않았다/생가지 하나 쓰지 않고, 삭정이만 재활용했다/구들장도 없고 텔레비전도 없지만/성근 지붕 새로 별이 보이는 밤이 길어 행복하다’

-반칠환의 ‘까치의 생태건축’에서

광릉숲에 피어난 풀꽃들. 왼쪽부터 꿩의바람꽃, 히어리꽃, 풍년화, 미치광이풀꽃, 깽깽이풀꽃. 광릉수목원=서영수 전문기자 kuki@donga.com


봄꽃은 노란 꽃이 가장 먼저 핀다. 벌들이 좋아한다. 빨간색은 별로 찾지 않는다. 꿀벌은 노란 꽃과 흰 꽃을 즐겨 찾는다. 호랑나비는 빨간색을 좋아하지만 배추흰나비는 빨간 꽃엔 거의 가지 않는다. 광릉숲에도 노란 꽃은 거의 다 피었다. 복수초 풍년화 산수유 생강나무 개나리 모두모두 피었다. 노란 꽃 다음엔 진달래 등 연분홍 꽃이 필 차례다. 벚꽃 목련 등 흰 꽃도 피지만 흰 꽃은 5월에 우르르 핀다. 국수나무 조팝나무 이팝나무가 그렇다.

광릉숲은 절반 이상(12km²)이 천연림이다. 소나무 참나무 서어나무 물푸레나무들이 섞여 있다. 인공림은 9.86km²로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소나무는 햇볕을 좋아한다. 척박한 땅에서도 뿌리를 내려 잘 산다. 소나무는 독성이 함유된 낙엽을 두껍게 쌓거나 송진을 내뿜어 다른 식물들의 싹을 죽인다. 자신의 영역 안에는 아예 다른 식물들이 발을 못 붙이게 한다. 하지만 일단 소나무 아래에서 참나무가 싹을 틔우는 데 성공하면 소나무는 밀려나기 시작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1913년 광릉숲의 소나무 면적이 전체 50%를 차지했으나 2008년엔 6%로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졸참나무 서어나무와의 경쟁에서 소나무가 밀려났다는 것을 뜻한다. 소나무보다 참나무(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가 응달에 강하고, 참나무보다 서어나무 단풍나무가 음지에서 더 강하다. 누가 뭐래도 광릉숲은 이제 참나무 서어나무 숲인 것이다.

광릉숲 흙은 97%가 유기물이 듬뿍 들어 있는 갈색 토양이다. 봄이 되면 흙이 몽글몽글해진다. 박테리아 곰팡이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증거다. 지렁이 굼벵이 두더지 땅강아지도 흙을 부드럽게 밭갈이를 한다. 봄비가 내리면 공기와 물이 그곳으로 촉촉이 스며든다. 나무들은 뿌리를 통해 물과 영양분을 빨아들인다.

숲은 거대한 산소공장이다. 숲은 사람이 없으면 더 잘 살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은 숲 없이는 결코 살 수 없다. 숲은 사람뿐만 아니라 새와 짐승들을 키운다. 벌 나비 등 온갖 곤충과 지렁이 땅강아지도 키운다. 숲이 사라지면 온갖 생명들도 사라진다.

천연기념물 광릉크낙새가 언젠가부터 보이지 않는다. 크낙새는 딱따구리의 일종이다. 붉은 머리의 수컷은 아름답고 위엄이 있다. 검은 암컷은 요조숙녀처럼 조신하다. 크낙새는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좋아한다. 고단백 섭취로 그만한 것이 없다.

요즘엔 장수하늘소도 보기가 쉽지 않다. 장수하늘소는 오래된 서어나무 줄기에 알을 낳는다. 광릉숲에는 서어나무 숲은 있지만 웬일인지 그곳에 장수하늘소는 거의 없다. 학자들은 ‘야행성인 장수하늘소가 인근 아파트 불빛에 홀려 방충망에 걸려 죽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나무는 맑고 깨끗이 살아갑니다//그의 귀에 새벽 네 시의/달이 내려가 조용히/기댑니다//아무 다른 소식이 없어/바라보고 있으면 눈물이 납니다’ -이성선 ‘소식’ 전문

김화성 전문기자 mars@donga.com   



▼세조 유언따라 광릉엔 석곽 안쓰고 매장▼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무덤. 유언에 따라 석곽을 쓰지 않았고 무덤 둘레에 병풍석이 없다.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무덤. 유언에 따라 석곽을 쓰지 않았고 무덤 둘레에 병풍석이 없다.
광릉(光陵)은 조선 제7대 임금 세조(1417∼1468, 재위 1455∼1468)와 세조의 비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능이다. 왕과 왕비의 능이 서로 다른 언덕에 있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V’자 모양이다. 두 능이 갈라지는 지점에 제각으로 썼던 정자각(丁字閣)이 서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이 세조 능이고 왼쪽이 왕비 능이다.

세조는 세종의 둘째 아들이다. 첫째가 문종(1414∼1452, 재위 1450∼1452)이고 문종의 아들이 단종(1441∼1457, 재위 1452∼1455)이다.

세조는 1455년 쿠데타로 임금 자리에 올랐다. 그 과정에서 어린 조카 단종을 죽이고, 동생 안평대군(1418∼1453) 금성대군(1426∼1457)을 죽이고, 사육신 김종서 등 수많은 선비를 죽였다. 피도 눈물도 없었다.

세조가 누워 있는 곳도 원래 영의정을 지냈던 정창손(1402∼1487)의 문중 선산이었다. 당시 정창손은 막강한 실세였지만, 임금의 능으로 쓰겠다는 데야 어쩔 수 없었다. 눈물을 머금고 조상들의 묘를 모조리 이장해야만 했다. 세조의 아들 예종(1450∼1469, 재위 1468∼1469)은 조금 미안했던지 정창손에게 쌀과 콩 100가마, 종이 100권 등을 보냈다.

세조의 능은 우람하지 않다. 석곽을 쓰지 않고 관을 구덩이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 다졌다. 무덤 둘레에 병풍석도 없다. 병풍석에 새겼던 12지신상은 난간석에 새겼다. 세조는 “죽으면 빨리 썩어야 한다.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라”고 유언했다.

세조는 거칠고 격정적이었지만 눈물도 많았다. 가야금을 잘 타고 피리도 잘 불었다. 신하들과 격의 없이 술자리도 곧잘 가졌다. 음식도 까탈을 부리지 않았다. 그렇지만 권력에 대드는 자는 가차 없이 목을 베었다.

세조는 쉰하나에 눈을 감았다. 임금 자리엔 딱 13년 3개월 앉았다. 한 살 아래 왕후 윤씨는 65세까지 비교적 장수했다. 세조가 눈을 감은 뒤에도 15년이나 더 살았다. 예종이 왕에 오른 지 13개월 만에 죽고, 12세의 성종(1457∼1494, 재위 1469∼1494)이 즉위하자 뒤에서 수렴청정을 했다. 세조는 목숨을 걸고 쿠데타를 했지만, 그 영화는 왕후 윤씨가 오래오래 누린 셈이다.
▼31년 생물 선생님이 숲 해설가로▼


연호진 씨(62·사진)는 경력 2년의 광릉숲 해설가이다. 중고등학교에서 31년 동안 생물을 가르치다가 은퇴했다. 사는 곳도 아예 광릉숲 턱밑으로 옮겨왔다. 매일 아내와 새벽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그의 아내는 인근 병원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다.

“광릉숲에서 산다는 게 그저 행복하고 즐겁다. 조금이나마 알고 있는 지식을 여러 사람과 나눌 수 있다는 것도 고맙다. 나무와 꽃들은 모두 내 친구나 마찬가지이다. 늙으면 외롭다는데 나는 친구가 아주 많아 좋다. 매일 두 발로 걸어 다니니까 따로 운동할 필요도 없다. 공기 좋고 경치 좋은 데다 친구까지 많으니 뭘 더 바라겠는가.”

숲 해설가는 누구나 될 수 있다. 나무와 숲을 사랑하는 사람이면 된다. 사랑하면 모든 게 저절로 보인다. 물론 일정한 교육이 필요하다. 산림청이 인증하는 숲 해설가 교육기관에서 기초교육(3개월)과 전문교육(6개월) 과정을 마쳐야 한다. 숲 해설가는 1년마다 계약하며 주5일 근무에 월 120만 원을 받는다. 전국에 약 580명이 활동하고 있다.

★숲 해설가 교육기관(서울 소재 산림청 인증기관)=▽(사)한국숲해설가협회(02-747-6518) ▽(사)숲∼연구소(02-722-4527) ▽국민대 평생교육원 숲 해설과정(02-910-5193-6)
Travel Info

▽승용차
=△서울미아동→의정부→축석고개→광릉수목원 △서울청량리→구리시→퇴계원→광릉수목원 △서울석계역→태릉→퇴계원→광릉수목원 △중부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도로→구리나들목→퇴계원(일동 방향)→광릉수목원 ▽버스=①포천 방향=동서울터미널(11번), 천호역(23번), 석계역(7-3번, 73번), 청량리(707번, 88번), 강남 삼성 잠실(7007번)→광릉내 하차 의정부행(21번) 환승→광릉수목원 ②의정부 방향=종로 노원(1001번), 강남 노원(3100번), 인천 일산(3700번), 강변 광나루(1-1번)→의정부 시외버스터미널 하차 포천 방향 100m 정류장에서 광릉내행(21번) 환승→광릉수목원 ▽전철=1호선 의정부역 하차(1번 출구) 동부광장 버스정류장에서 광릉내행 버스(21번)

▼주변 먹을거리 ▽한정식 욕쟁이할머니집(031-542-3667) ▽생선구이 쌈밥 대청마루(031-541-2289) ▽동이 손만두(031-541-6870) ▽다인 막국수(031-543-9995) ▽광릉불고기(031-527-6631) ▽동충하초삼계탕 큰대문집(031-527-7235)

▼주변 가볼 만한 곳 ▽아프리카예술박물관=탄자니아 케냐 등 아프리카 30개국 150여 부족의 유물 미술작품 민예품 가면 3000여 점 전시. 031-543-3600 ▽광릉분재예술공원=40여 종, 400그루 분재 전시. 1억4000만∼6400만 년 전의 나무화석도 볼 수 있다. 031-542-5755

★광릉수목원은 인터넷예약자(www.kna.go.kr)만 들어갈 수 있다. 031-540-2000. 인원도 화·수·목·금요일 5000명, 토요일 3000명으로 제한되며 개방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무료로 숲 해설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봉사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