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京都) 시 북쪽 시치쿠(紫竹)지역의 한적한 주택가. 대문 앞에 무인석 두 구가 떡 버티고 선 주택이 있다. 1988년 재일동포 정조문(1918∼1989)이 세운 고려미술관이다. 일본의 역사가 숨쉬는 고도(古都) 교토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곳이다. 이 고려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려청자 세 점이 고향 땅인 전남 강진군을 찾았다. 13, 14세기의 청자상감 모란무늬 편호(偏壺), 13세기의 청자상감 모란국화무늬 화분, 12세기의 청자양각 촉규(蜀葵)무늬 대접으로, 고려미술관을 대표하는 명품들이다.
고려 때 청자를 생산했던 강진군이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고려청자, 천년만의 강진 귀향’ 특별전을 마련한다. 고려미술관과 도쿄(東京)의 이데미쓰(出光)미술관 등 일본과 국내 곳곳에 흩어져 있는 강진산 고려청자 52점을 초대하는 자리다. 고려 때 강진에서 만든 고급 청자들은 대부분 수도인 개경으로 올라갔고 이후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유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품작 가운데는 역시 고려미술관 청자가 가장 눈길을 끈다. 고려미술관 큐레이터로 일하는 이수혜 씨에게 19일 전화를 걸었다. 이 씨는 설립자의 외손녀다.
“외할아버지는 도자기를 특히 좋아하셨습니다. 늘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를 쓰다듬으시면서 고향을 그리워하셨지요. 살아 계실 때 도자기 가마를 찾아다니시면서 일본에 끌려온 조선 도공 얘기를 자주 하셨던 것이 생각납니다. 강진에서 전시하는 청자 세 점은 할아버지가 가장 좋아하셨던 것들입니다. 마치 당신이 강진 땅을 밟은 것처럼 기뻐하실 거예요.”
정조문은 여섯 살 때 아버지 손에 이끌려 일본으로 건너갔다. 어린 시절 차별 속에서 부두 노동자로 막일을 하면서 지내야 했다. 성인이 되면서 사업을 시작했고 조금씩 돈을 모아나갔다. 1949년 어느 날 교토 거리를 걷다 갤러리 진열장에 전시된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를 만났다. 그 모습에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발견했다. 곧바로 일본에 유출된 문화재를 모으기 시작했다. 도자기 회화 불상 금속공예품 목공예품 민속품 등 1700여 점을 모아 고려미술관을 세웠다. 이 씨는 “그 백자에 이끌려 문화재 수집을 시작했고 그래서 고려미술관까지 탄생한 것”이라고 했다. 고려미술관 컬렉션 가운데 도자기 컬렉션은 특히 정평이 있다.
정조문은 고려미술관연구소를 만들어 한국 문화와 문화재를 연구하고 관련 강좌를 개설했으며 ‘일본에 남은 조선문화’라는 잡지도 발간했다.
이번에 출품된 청자 세 점은 명품으로 평가받는다. 양쪽이 평평한 항아리 모양의 청자상감 모란무늬 편호는 형태 면에서 희귀한 데다 구름과 학, 모란 무늬도 뛰어나고 전체적으로 우아한 품격을 지니고 있다. 청자 화분도 소중한 작품이다. 장남원 이화여대 교수는 “고려시대 분재를 심어 감상하거나 장식했던 문화와 관계가 있는 작품”이라고 평했다.
청자양각 촉규무늬 대접은 그 사연이 각별하다. 촉규는 장마철에 붉은색 보라색 흰색 꽃을 피우는 다년초 식물이다. 1998년 고려미술관 개관 10주년 특별전이 열릴 때 미술관에 도둑이 들었다. 그때 도둑들이 훔쳐가려다 이 대접을 깨뜨렸다. 이후 부서진 조각을 붙여 수리한 것이다.
도쿄의 대표적 미술관인 이데미쓰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자 세 점도 함께 왔다. 출품작은 12세기경 강진에서 제작된 청자음각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주전자와 받침, 청자음각 연화무늬 매병, 청자상감 모란무늬 매병. 받침이 있는 청자 주전자의 경우 주전자와 받침이 세트로 전해오는 것은 흔하지 않은 데다 표주박 모양도 이색적이어서 가치가 높다. 전시 기획에 참여한 한성욱 민족문화유산연구원장은 “좀 더 많은 작품을 섭외하지 못해 아쉽긴 하지만 일본에 있는 고려청자를 강진에서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소중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전시는 강진군 청자도요지에서 열리는 강진청자축제(30일∼8월 7일)의 일환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청자음각 구름용무늬 상약국명(尙藥局銘) 합’(보물 1023호), 호림박물관의 ‘청자상감 연꽃버드나무무늬 덕천명(德泉銘) 매병’(보물 1452호), 개인 소장의 ‘청자음각 구름무늬 병’(보물 1035호), 선문대 박물관의 ‘청자상감 연꽃국화무늬 정릉명(正陵銘) 통’,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청자 사자모양 향로 등도 함께 선보인다. 1688-130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