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주인이 매일같이 귀여워하다 갑자기 걷어차더라도 오랫동안 슬퍼하거나 노하지 않는다. …왜 부당하게 걷어차여야 하냐고 항변하거나 이렇게 살아서 뭐하냐고 자기연민에 빠지지도 않으며, 걷어차이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태업을 하거나 탄식하지도 않는다.” ―은희경, ‘그녀의 세 번째 남자’》 B는 오래전부터 시추 한 마리를 키우고 있다. 그는 시시때때로 대단한 애정을 갖고 개 자랑을 해왔다. 그 개의 밥 먹을 때 버릇, 휴식 때 즐겨 취하는 포즈, 잠잘 때 습관, 심심할 때 놀아달라고 부리는 애교의 종류 등등. 하지만 막상 그 개를 실제로 만났을 때, 나는 별로 귀엽다고 느끼지 못했다. 굉장히 산만하게 몸부림치는 개라는 느낌만 강했다. 그게 객관적 인상이었다. 하지만 B는 그 개를 객관적으로 대하지 못했다. 그는 세상의 다른 모든 개보다 그 개가 귀엽다고 생각했다. 내가 그게 아니라는 사실―그러니까 그 개는 개 중에서도 그렇게 귀여운 편에 속하지는 않는다는 엄밀한 사실―을 일깨워주면 언짢아했다.
그런 B를 보며 나는 다음과 같은 궁금증을 품게 됐다. ‘사람들은 왜 개를 좋아할까.’ 설령 나에 대한 B의 마음은 변할지라도, 그 개에 대한 마음은 쉽게 변하지 않을 거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가 새 여자친구와 산책을 하는 동안에도 그 개는 산만하게 헉헉거리며 B의 옆을 지킬 것이다.) 그건 B뿐만 아니라 애완견을 키우는 대부분의 사람이 마찬가지일 것이다. 개에게 ‘사랑인 줄 알았는데 어느 날 아니란 걸 깨달았다’ ‘우리 관계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보자’는 등의 이유로 이별을 선포할 사람은 없다. 데이트 상대가 몇 번이나 바뀌는 동안에도, 그나 그녀의 곁을 지키는 개는 늘 같은 개일 것이다.
그래서 B에게 물어봤다. 모든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싫증을 내게 돼 있다. 사람은 만나면 대부분 헤어진다. 그리고 미워하고 증오하기도 한다. 그런데 왜 사람이 아닌 개는 일관되게 좋아하는가. 사람과는 말도 통하고 개와 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다른 것을 함께 할 수 있는데, 왜 개에 대한 마음보다 사람에 대한 마음이 더 쉽게 변하는가. B는 ‘개는 귀여우니까’라고 말했다. 하지만 개보다 훨씬 더 귀엽고 예쁜 여자도 버림받는다. B는 또 ‘애완동물은 오래 키우면 가족과 다름없으니까’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인간은 가족들끼리도 서로 증오하고 이혼하거나 심지어 싸우고 죽이기도 한다.
B는 다시 ‘개는 주인을 무조건 따르니까’라고 했다. 이 대답은 은희경 단편 ‘그녀의 세 번째 남자’의 한 대목과 흡사했다. 복잡하게 얽힌 관계에서 오는 피로와 중압감을 벗기 위해 잠시 산사에 머물게 된 여주인공은 절간의 명랑한 개들에게서 깊은 인상을 받는다. 기억에 지배당하고, 욕망에 짓눌리고, 관계에 찌든 사변적 인간들과 달리 개들은 단순하다. 개는 먹이를 주든 안 주든, 걷어차이든 아니든, 언제든 주인의 발밑에 엎드려 있다가 부르는 순간 감격해서 달려온다. 개는 뒤끝이 없다. 인간과 가장 뚜렷이 대비되는 특성이자 인간이 갖지 못한 개의 미덕이기도 하다. 의리나 충정이라고 하기도 뭣하고, 백치미라고 하기도 뭣한, 이를테면 지고지순함이랄까. 하지만 이 대답도 불충분했다. 만약 자신의 말을 (문자 그대로) ‘개처럼’ 잘 듣는 사람이 있다면, 단언컨대 사람들은 머지않아 싫증을 느낄 것이다.
B는 마침내 대답을 포기했다. ‘몰라, 어쨌든 귀여워’로 끝났다. 자신이 키우는 요크셔테리어가 톰 크루즈의 딸 수리와 똑같이 생겼다고 주장하는 한 친구의 결론도 비슷했다. “복잡한 논리와 이성적 사고 따윈 집어치워, 이렇게나 귀여운 걸, 우쮸쭈쭈….” 하지만 여전히 궁금했다. 왜 사람은 때때로 사람보다 개에게서 더 큰 신뢰와 우정을 느낄까. 사람에게 느끼는 싫증, 상처와 분노, 환멸을 왜 개에게서는 거의 받지 않을 수 있단 말인가. 어떻게 개는 맹렬히 꼬리치는 것만으로도 사랑받을 수 있는가. 질문이 계속 이어질수록 개의 정체는 미궁 속으로 빠져들었지만, 적어도 한 가지―인간은 불행한 동물이다―는 분명해지고 있었다.
appena@naver.com
톨이 Humor, Fantasy, Humanism을 모토로 사는 낭만주의자. 서사적인 동시에 서정적인 부류. 불안정한 모험과 지루한 안정감 사이에서 줄다리기 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