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309>陽虎曰爲富면 不仁矣오 爲仁이면 不富矣라 하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2월 23일 03시 00분


맹자는 등나라 文公에게 정치의 근본은 백성들의 生業(생업)을 안정시키는 데 있으므로 백성들에게서 세금을 과도하게 걷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고서 魯(노)나라 陽虎의 말을 인용해 貪慾(탐욕)과 仁政(인정)은 兩立(양립)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陽虎는 곧 陽貨(양화)로, 춘추시대 노나라 季氏(계씨)의 가신으로서 국정을 장악했던 인물이다. ‘논어’ ‘양화’편에 보면 양화는 공자가 자신을 만나주지 않자 돼지를 공자에게 선물했다. 공자는 양화가 없는 틈을 타 그의 집으로 가서 감사의 뜻을 표하고 오다가 양화를 만났다. 양화는 “보배로운 재주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나라의 혼란을 내버려둔다면 어질다고 할 수 있겠소?”라고 했다. 공자는 무도한 양화를 섬길 수가 없어서 막연하게 “내가 장차 나아가 벼슬하겠소”라고 말했다.

‘爲富면 不仁矣오 爲仁이면 不富矣라’는, 위정자가 富를 추구하면 필시 어질지 못하게 되고 거꾸로 어진 정치를 행하면 부유하게 될 수 없다는 뜻이다. 양호는 仁政을 행하면 위정자가 부유해질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하기 위해 이 對仗(대장)으로 표현했으나, 맹자는 위정자가 부유하려 하다 보면 仁政을 행할 수 없다는 점을 부각시키려 했다. 주자(주희)는 天理(천리)와 人慾(인욕)은 병립할 수 없다고 했다. 또 소인은 인욕을 따르므로 어질고자 하면 부유하게 될 수 없고, 군자는 천리를 따르므로 부유하려다 보면 어질지 못하게 된다고 구분했다.

하지만 천리와 인욕이 반드시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부유하면서도 기부 등 선행을 하는 사람도 많다. 공자는 ‘논어’ ‘里仁(이인)’편에서 ‘君子는 喩於義(유어의)하고 小人은 喩於利(유어리)니라’라고 했을 따름이다. 군자는 義에 밝아서 일마다 義를 표준으로 삼지만 소인은 利에 밝아서 일마다 利를 표준으로 삼는다고 한 것이다.

‘爲富면 不仁矣오’라는 것은 앞서의 ‘焉有仁人在位(언유인인재위)하여 罔民(망민)을 而可爲也(이가위야)리오’라는 말과 호응한다. ‘爲仁이면 不富矣라’는 것은 ‘賢君(현군)은 必恭儉(필공검)하여 禮下(예하)하며 取於民(취어민)이 有制(유제)니이다’라고 했던 말과 호응한다고 봄이 옳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