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는 정치를 담당했던 성인은 백성들을 위해 輔佐(보좌)의 인물을 구하려고 근심했다고 환기하고, 군주로서 지녀야 할 덕목으로 惠와 忠과 仁이 있되 그 가운데서도 천하를 위해 인재를 얻는 仁의 덕목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맹자는 천하를 남에게 주기는 쉬워도 천하를 위해 인재를 얻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옛사람들은 정치에서 인재를 얻는 문제를 가장 중시했다. ‘대학’ 治國平天下章(치국평천하장)을 보면 ‘見賢而不能擧(견현이불능거)하며 擧而不先(거이불선)이 命也(명야)요 見不善而不能退(견불선이불능퇴)하며 退而不能遠(퇴이불능원)이 過也(과야)니라’라고 했다. ‘어진 이를 보고도 등용하지 않고 등용하되 우선하지 않는다면 태만함이다. 선하지 않은 이를 보고도 물리치지 못하고 물리치되 멀리 물리치지 못한다면 잘못이다’라는 말이다. 이때의 命은 慢(만)의 뜻으로 본다.
‘史記’ ‘魯周公世家(노주공세가)’와 ‘韓詩外傳(한시외전)’을 보면, 周公은 아들 伯禽(백금)이 魯公(노공)에 봉해지자 자신이 成王을 도와 攝政(섭정)할 때의 일을 전하여 경계하기를, ‘네가 노나라에 가거든 노나라 임금이란 지위에 있다고 해서 선비들에게 교만을 부리지 말라. 나는 文王의 아들이요 武王의 아우요 成王의 숙부로서 천하에 재상이 되었음에도, 머리 한 번 감을 때 세 번씩 머리털을 거머쥐고 나가고, 밥 한 번 먹을 때 세 번씩 밥을 뱉고 나가서 선비를 만나면서도 오히려 천하의 선비를 놓칠까 염려했었다’라고 하였다. 吐哺握髮(토포악발) 혹은 握髮吐食(악발토식)이란 성어가 여기서 유래한다. 토포는 먹던 음식을 뱉어 낸다는 뜻이고 악발은 감던 머리를 감싼다는 뜻이다. 훗날에는 재상이 賢人을 맞이하는 데 부지런함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
이러한 고사성어가 널리 전한 것을 보면 옛사람은 인재를 등용하는 데 부지런했음을 잘 알 수 있다. 오늘날도 천하 사람들을 구원하려면 인재가 필요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