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폭력을 다룬 공연이 잇따라 무대에 오른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창작과 K-Arts 무용단 정기공연 ‘떨어지는 아이’,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가 제작한 연극 ‘레슬링 시즌’, 신시컴퍼니가 제작하는 연극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등 세 편이다.
이 세 작품은 감성적으로 호소하거나 메시지를 주장하지 않고 담담하게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공통점을 지녔지만 학교 폭력에 대해 각각 다른 시선으로 접근하고 있다.
○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바라본 학원 폭력
K-Arts 무용단의 ‘떨어지는 아이’는 ‘아웃캐스트(Outcast)’ ‘그림자밟기’ ‘촉’ ‘나는 뛰어내리기 선수이다’와 일본 니혼대 예술학부 현대무용단의 ‘더 송 오브 루루루(The Song of RuRuRu)’ 등 다섯 작품으로 구성됐다. 각각 다른 작품이지만 학교폭력을 사회의 병리적 현상으로 바라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림자밟기’는 아이들이 권력 지향적인 어른 세계를 모방하는 모습을 춤으로 형상화했다. 오스트리아 출신 안드레아 슐레바인 한예종 초빙교수가 안무한 ‘Outcast’는 누군가를 희생양으로 삼아 책임을 떠넘겨 체제를 유지하는 인간 사회의 속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학교 폭력도 결국 이 사회의 축소판임을 암시한다.
미국 안무가 리빙스턴과 공동으로 ‘촉’을 안무한 기획자 김삼진 교수는 “따돌림은 인간집단에 언제나 존재해 온 것인데 최근 학교 폭력은 그 기형적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이번 공연은 우리 사회의 문제에 대한 예술가들의 적극적인 관심 표명”이라고 말했다. 18, 19일 한예종 석관동캠퍼스 예술극장. 전석 무료. 02-746-9360
○ 아이들의 눈높이로 바라본 집단따돌림
2000년에 발표된 미국 극작가 로리 브룩스의 희곡을 한현주 씨가 각색하고 서충식 씨가 연출한 ‘레슬링 시즌’은 고등학교 레슬링부 남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집단따돌림의 주체이자 희생양인 학생들 내면에 초점을 맞췄다.
어린 시절부터 단짝 친구인 레슬링부의 민기와 강석은 맨몸으로 부딪히는 운동 종목 특성 때문에 동성애 커플로 오해받는다. 오해가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면서 이들은 학교 전체에서 ‘변태’로 낙인찍힌다.
연극은 “쟤는 그렇대”로 시작된 악의 없는 낙인찍기가 어떻게 집단적인 보이지 않는 폭력으로 발전하는지를 학생들의 사실적인 대화를 통해 보여준다. 낙인찍기는 아직 정체성이 확고하지 않은 어린 학생들의 불안한 심리의 반영일 수도 있다. 국립극단 김미선 PD는 “결말이 열려 있어 관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공연이 끝난 뒤 15분가량 배우와 관객이 대화하는 시간이 있다. 31일∼6월 10일 서울 서계동 백성희장민호극장. 1만∼3만 원. 1688-5966
○ 아이들 폭력 뒤에 숨은 어른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김광보 연출)는 학생들이 아닌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 부모들의 모습을 통해 어른들의 이중적인 잣대를 고발한다. 고등학교 교사이자 작가인 일본의 히타사와 세이고 씨의 작품으로 2008년 일본에서 초연했다.
서울 국제중학교에서 한 여학생이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자 학교는 유서에 언급된 가해 학생들의 부모를 회의실로 소집한다. 가해 학생들의 부모는 자식을 보호하기 위해 가해 사실을 부정하고, 심지어 피해 학생의 유서까지 태워버린다. 손숙 박용수 박지일 이대연 길해연 서이숙 씨 등 대학로 대표 배우들이 출연한다. 6월 24일∼7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4만∼6만 원. 1544-155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