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에는 천당이 있고, 땅에는 쑤저우와 항저우가 있다(上有天堂, 下有蘇杭).’ 장쑤(江蘇) 성 쑤저우(蘇州) 시는 호수와 운하가 어울려 경관이 아름답기로 이름난 곳이다. 박현규 순천향대 교수가 최근 이곳에서 고려정(高麗亭) 옛터 2곳을 발굴했다. 송나라가 고려사신을 융숭하게 대접하기 위해 고급스럽게 지었다고 알려진 곳이다. 고려와 송은 한중 역사상 대표적으로 우호적 교류를 한 나라이며 고려정은 그 상징물이다. 쑤저우 중심지역인 핑장(平江) 구와 창랑(滄浪) 구에는 옛 도성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성의 북서쪽에 있는 창먼(창門)과 남서쪽에 있는 판먼(盤門) 성문 바로 바깥쪽에 고려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비석에 새겨진 송대 쑤저우 지도 ‘평강도(平江圖)’에 고려정의 위치가 표시돼 있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이 평강도를 쑤저우 비각박물관에서 찾아냈다. 5월 15일 비각박물관을 찾은 기자에게 박물관 루쉐메이(陸雪梅) 관장은 “평강도는 북송시대 도시계획의 세부를 알 수 있을 정도로 건물의 위치가 정확하고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 창먼과 판먼 바깥의 고려정은 모두 1084년 송 황제 신종(神宗)의 명으로 세워졌다. 창먼의 고려정은 1240년경 개축된 뒤 통파정(通波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북송 시대의 쑤저우는 현재 닝보(寧波) 시에 해당하는 명주(明州)로 들어온 고려사신이 현 카이펑(開封) 시인 수도 변경((변,판)京)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었다.
쑤저우 옛 성벽 바깥에는 지금도 성벽을 따라 운하가 흐르고 있다. 창먼에서 나와 운하를 건너는 다리는 ‘신댜오(新弔)교’인데 이 다리를 건너자마자 왼쪽에 나오는 잔위둔(占魚墩) 공원 자리가 고려정이 있던 곳이다.
창먼 바깥은 경항대운하의 길목으로 당시 쑤저우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었다. 빈객의 흥을 돋우기 위해 바르는 여인들의 화장품이 물에 섞이면서 수면이 뿌옇게 흐려져 주변 운하를 연지하(>脂河)라고 불렀을 정도다.
고려정이 건립되고 약 400년 후인 1488년 조선 문인 최부(1454∼1504)도 중국 저장(浙江) 성 동쪽 해안에 표착한 뒤 경항대운하를 따라 연경으로 가면서 달빛이 좋은 밤에 이 고려정 앞 운하를 지났다. 최부의 ‘표해록(漂海錄)’을 보면 이런 대목이 나온다. “밤 삼경에 노를 저어 북쪽으로 가서 창문(창門) 앞을 지났고, 그 앞에 ‘통파정(通波亭)’이 있는데 옛 이름이 고려정으로 고려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세워졌다. 그 앞으로는 집과 담이 잇닿아 있고 수레들이 빗살처럼 죽 늘어서 있다.” 최부는 또 “노를 저어 접관정(接官亭)에 이르러 정박했다”고 적었다.
고려정관 터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어린 시절부터 살았다는 장스화(張士華·85) 씨는 “접관정은 6, 7년 전 인근에 새 다리를 건설하면서 없어졌다”며 고려정 터에서 서쪽으로 400m가량 떨어져 있는 접관정 터를 안내했다. 최부의 기록과 일치했다.
평강도에 따르면 판먼 바깥의 고려정은 창먼 고려정보다 규모가 컸다. 창먼의 고려정은 건물 한 채만 그려져 있는 반면 판먼의 고려정은 건물을 보호하는 담장과 대문까지 보인다. 판먼의 고려정이 있던 곳은 판먼 앞 운하 남동쪽 너머로 보이는 시민공원 자리다.
고려 사신들은 도성 안에 있었던 회원정(懷遠亭)과 안류정(安流亭)에도 묵었다. 통상 도시당 1곳 정도였던 고려 사신의 숙박 장소가 쑤저우에는 창먼과 판먼 밖의 고려정을 포함해 모두 4곳이나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창먼과 판먼의 고려정은 고급스럽고 화려했다. 쑤저우의 고려정들은 현재 장쑤 성 롄윈강(連雲港) 시에 해당하는 해주(海州)와 현 산둥(山東) 성 자오저우(膠州) 시인 밀주(密州) 판교진(板橋鎭)의 고려정과 함께 건립됐는데, 해주와 밀주의 고려정을 본 소동파(1037∼1101)가 웅장하고 화려한 고려정을 짓느라 힘겨워했을 백성들을 염려하는 시를 지었다는 얘기가 ‘동파전집(東坡全集)’에 나올 정도다. 1119년 발간된 ‘평주가담(萍州可談)’에도 “고려사신을 접대하는 것이 가장 후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쑤저우의 고려정 건립은 사행(使行) 노선의 변경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려는 1074년 사행 항구를 현 산둥 성 북단의 펑라이(蓬萊)에 해당하는 등주(登州)에서 현 장쑤 성 닝보 인 명주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했고, 송 신종은 요청을 받아들여 사행 노선을 바꾸었다. 등주는 고려의 예성강이나 옹진반도에서 가까웠지만 거란족의 요나라가 그 북쪽에 있어 자칫 항로를 이탈하게 되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었다. 사행 항구가 바뀌자 명주에서 수도인 변경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쑤저우를 비롯한 주요 거점마다 고려정을 지었던 것이다.
송 신종의 고려정 건립 명령은 사행 노선 변경 10년 뒤에 있었다. 그 사이 1079년에는 고려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현 닝보 전하이(鎭海) 구로 바다에 접한 정해(定海)와 현 닝보 중심지에 각각 항제정(航濟亭)과 낙빈관(樂賓館)을 세웠다. 정해 항제정은 2010년 전하이 구 당국에 의해 원래 자리에서 바닷가로 500m 정도 옮겨 복원됐다.
쑤저우 고려정관 설립 30여 년 뒤인 1117년에는 영파(寧波)에 또 다른 고려사관(高麗使館)을 지었다. 1999년 하이수(海曙) 구 웨후(月湖)공원 동편에서 이 고려사관 유적지가 발굴됐다. 이 자리엔 2006년 LG의 후원으로 전시관인 명주여고려교왕사진열실(明州與高麗交往史陳列室)이 세워졌다. 신라인과의 교역, 최부의 표류 등 한국과 중국 동해지역의 교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송은 왜 이렇게 고려 사신 접대에 공을 들였을까. 고려와 송은 962년 국교를 맺은 이후 많은 사신을 보내며 우호교류에 힘썼다. 고려는 송을 통해 새 문물을 받아들이고 교역을 활성화함으로써 문화 경제적인 이득을 얻었다. 한편 송은 중국 북방에 있는 거란을 견제하기 위해 고려의 군사력이 필요했다. 특히 고려가 거란의 공세를 물리친 이후에는 송이 고려사신의 격을 국신사(國信使)로 높여 고려를 대등한 관계로 대우했다. 고려에 사신을 보내 군사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 명나라 풍속-기후-교통 ‘표해록’에 남겨 ▼
제주도서 배 띄웠다가 표류… 조선관료 최부 옌장 해안 도착
지금의 쑤저우와 항저우 동쪽 해안은 고려의 공식 사신뿐 아니라 한반도에서 온 표류인도 적지 않게 거쳐 간 곳이다. 대표적인 인물이 조선의 최부(崔溥·1454∼1504)다. 그가 처음 표착한 곳은 당시 지명으로 대주(臺州) 부 임해(臨海) 현의 우두외양(牛頭外洋). 현 타이저우(臺州)시 싼먼(三門) 현 옌장(沿江) 촌에서 동남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해안이다. 이곳에는 마을 사람들이 뉴터우(牛頭) 산으로 부르는 작은 산이 있다. 5월 13일 뉴터우 산을 찾아갔을 때는 포클레인이 산허리를 크게 파헤쳐 본래 산의 모습을 반쯤 잃은 상태였다.
표착지는 그때나 지금이나 인가가 없는 해안가인 데다 표지석도 없어 찾아내기 힘들다. 대신 싼먼 현 기상국이 2010년 6월 뉴터우 산 북쪽 1km 해안가에 1974년 8월 태풍 메리가 상륙한 장소를 표시할 목적으로 세운 지펑팅(記風亭)을 찾으면 된다. 지펑팅 비석에는 해당 위치가 위도 28도 55분, 경도 121도 39분으로 새겨져 있다.
뉴터우 산을 찾는 과정에서 만난 옌장 촌 주민 왕장진(王掌金·45) 씨도 최부의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 왕 씨는 “옌장 촌에는 700가구 2500여 명이 사는데 나이가 제법 되는 어른들 중 많은 사람이 최부의 이야기를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과 중국의 학자 혹은 여행가들이 최부의 표착지를 찾아 방문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주민들의 관심도 커졌다고 그는 덧붙였다.
최부는 1487년 추쇄경차관(범죄수사나 도망간 노비를 잡는 일을 했던 관리)으로 제주에 부임했다. 이듬해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배를 띄웠다가 표류했다. 대주에 표착한 일행 43명은 처음에는 왜구로 오인을 받았지만 최부가 조선의 관료라는 것이 밝혀져 베이징으로 이송됐고, 무사히 귀국해 중국에서의 체험을 ‘표해록’으로 남겼다.
최부는 표해록을 통해 당시 명나라 연안의 뱃길과 기후, 도로, 관부, 풍속, 군사, 교통, 도회지 풍경 등을 남겼다. 표해록에 그가 소개한 수차(水車) 제작법은 당시 충청 지역에 가뭄이 들었을 때 활용되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