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는 첩의 자식이었다. 더욱이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집안 형편이 좋을 리 없었다. 어릴 적부터 자질구레하게 회계와 집사 일을 하고 소와 양을 기르면서 돈을 벌었다. 그러다 자신의 학문이 유명해지자 ‘사립학교’를 열어 가족이 먹고살기에 충분한 돈을 벌었다.
공자는 55세에 사립학교를 그만두고 관학에서 가르쳤다. 위나라 관학에서 그가 받은 연봉은 좁쌀 90t. 280명이 1년 동안 먹을 수 있는 양으로, 지금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파는 좁쌀 가격에 대입하면 50만 위안(약 8900만 원) 정도 된다. 또 공자는 노나라 주변 제후국을 둘러볼 때는 노나라 임금과 노나라 대부(大夫) 계손씨로부터 여행경비를 받았다. 고향인 산둥(山東) 성 취푸(曲阜)에는 호화주택도 갖고 있었다.
중국 최고의 사상가 공자의 일상을 떠올릴 때 초라한 행색으로 떠돌아다니는 모습을 연상하곤 한다. 비록 배를 곯을지라도 꼿꼿한 정신으로 학문을 닦았을 거라고. 어쩔 수 없이 속세의 물욕에 얽매이고 마는 우리와는 차원이 다른 낭만적 영웅을 꿈꾸기 때문일까. 하지만 공자는 우리가 추측하는 것만큼 궁핍하게 살지 않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중국의 칼럼니스트인 저자는 공자를 비롯해 맹자, 묵자, 백거이, 조조 등 중국 역사 속 굵직한 인물 14명의 소득이 얼마나 됐는지, 조상으로부터는 재산을 얼마나 물려받았는지, 재산을 어떻게 썼는지 등을 사료를 통해 추적한다. 부제는 ‘세속의 눈으로 파헤친 고전의 사생활’. 이들의 사상이나 업적이 아니라 먹고사는 문제를 천착한 점이 신선하다. 예나 지금이나 존경받는 분들이 돈을 얼마나 버는지 캐는 것은 금기이자 도발이지 않은가. 이 과정에서 당시 인물들이 살았던 시대의 생활상을 들여다보는 재미도 있다. 동양 고전에 빠진 독자라면 머리를 식히는 기분으로 읽기 좋다.
옛 사상가나 학자, 시인, 예술가들이 신선처럼 고결하고 청빈하게 살았을 것이라는 고정관념도 당연히 깨진다. 이들 역시 우리와 마찬가지로 신선이 아니었고 먹여 살릴 가족도 있었다. 시인 백거이도 내 집 마련을 위해 열심히 일했고, 중국에서 청렴결백한 관리의 대명사로 통하는 포공은 월급이 무척 많았기 때문에 청렴할 수 있었다.
맹자는 제나라에서 경(卿)의 지위에 있을 때 좁쌀 10만 종(鐘)에 해당하는 연봉을 받았다. 지금으로 치면 1만5000t이니 공자의 연봉이었던 좁쌀 90t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여기에 송나라와 설나라 임금에게서 막대한 황금을 받는 등 여기저기서 존경의 표시로 들어오는 선물도 쏠쏠했다. 저자는 “돈이 많았던 것은 맹자가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고 싶은 말만 할 수 있었던 기본적 토대가 됐다”고 말한다. 인격의 독립을 유지하려면 우선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쯤 되면 ‘군자는 정의를 밝히고 소인은 이익을 밝힌다’는 유가의 경구가 떠오른다. 이들이 인격 수양에만 매진하지 않고 ‘짭짤한 맛’도 적당히 보았던 것은 유가의 도에 어울리지 않는 걸까. 저자는 이를 오해라고 말한다. 유가에서는 결코 물질을 경시하지 않으며, 다만 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돈 버는 것을 경시할 뿐이라는 것. 중국 이학파의 대가인 정이(程이)는 “군자는 물질을 부리고 소인은 물질의 노예가 된다”고 했다.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도 진정한 현인은 내적으로 의리를 수양하고 외적으로 실리를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책 속 위인들의 주머니 사정 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는 과연 현명하게 벌고 지혜롭게 쓰고 있는지 돌아보게 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