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어디로 갔는지 몰라. (모국에) 돌아가 봐야 아는 사람도 없어요.”(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 신부·84)
“2년 반만 있다 내 갈 길을 가려고 했는데….”(마이클 이어돈 신부·58)
4일 오후 제주 이시돌 목장에서 만난 아일랜드 출신의 두 신부는 제주도와의 인연을 이렇게 말했다.
맥그린치 신부, 한국 이름 임피제 신부는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 소속으로 1954년 제주에 첫발을 디뎠다. 그는 1961년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돕기 위해 한라산 산간 지대의 황무지를 목초지로 바꾼 이시돌 목장을 개척했다. 목장 이름은 천주교 성인이 된 스페인 농부 이시돌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의 제주 사랑은 이후 양로원과 말기 암 환자 요양원, 피정센터 등으로 확대됐다. 목장 앞에는 그의 이름을 딴 ‘맥그린치로(路)’ 표지도 있다.
그의 뒤를 이어 목장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이어돈 신부와 제주의 인연도 운명적이다. 대학 졸업 뒤 1978년 수의사로 이 목장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하다 사제의 길을 걷게 됐다. 고국의 아버지는 아일랜드 교구에서 사제로 활동할 것을 권유했지만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수의사에서 신부로 변신해 1986년 서울에 도착했어요. 그랬더니 호칭이 마이클 씨에서 마이클 신부님이 되더군요(웃음). 그런데 서울에서 빈민 사목 활동도 하느라 다시 제주에 오는 데 7년이나 걸렸어요.”
임피제 신부는 제주 한림이라는 지명을 콕 찍어 “바로 여기가 내 고향”이라고 말했다. 7년에 한 번씩 휴가차 모국에 간 것을 빼면 쉬지 않고 제주에서 목장과 협동조합 등을 운영하며 주민들과 고락을 같이했다. 그는 “남들은 휴가 다녀오면 다른 본당으로 부임하라는 명령을 받는데 저는 계속 제주에서 일하라는 말만 들었다”고 덧붙였다.
두 신부는 같은 나라 출신인 데다 남다른 인연으로 얽혀 있다. “(맥그린치) 신부님이 한국에 온 그해 내가 태어났고, 지난해 사제 서품 60주년을 맞으셨을 때는 전 25주년이었습니다. 가끔 이 인연이 ‘팔자’ 아닌가 생각해요. 아니, 하느님의 섭리라고 해야죠.(웃음)”(이어돈 신부)
이시돌 목장은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한때 1만 마리가 넘는 돼지 등의 사육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지금은 3000마리 안팎의 한우와 젖소, 경주마를 사육하고 있다. 목장은 양로원과 피정센터, 어린이집, 요양원 등 휴양 복지시설과 함께 천주교 성지로 다시 자리매김하고 있다. 목장에서 클라라 수녀원∼금악성당∼현대미술관∼신창성당으로 이어지는 순례길이 조성돼 개방을 기다리고 있다.
두 신부는 자신들이 누구보다 사랑해 온 제주와 한국의 변화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금메달을 못 따도 최선을 다한다면 소중한 일이죠. 요즘 한국 사회가 지나치게 1등이 되기 위한 공부와 운동에만 매달리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