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가 서도호-건축가 을호 형제, 봉고트럭 개조 1인용 호텔 선보여
“다들 랜드마크를 원하지만 그 틈새공간을 주목합니다”
도심에 건축물 하나 지어 달라는 부탁을 받으면 누구나 기념비적인 무언가를 떠올릴 것이다. 더구나 실용적인 기능이 없는 장식용이라면 말이다. 하지만 광주 비엔날레의 폴리(folly·실험적 공공건축물) 프로젝트 작품을 의뢰받은 형제는 1.2t짜리 봉고 트럭을 개조한 1인용 호텔을 내놓았다. 눈에 확 띄는 영구적 기념비와는 거리가 멀다. 이곳저곳 옮겨 다니는 데다 어느 골목에 자리 잡아도 튀지 않도록 위장용 가림막까지 쓴다. 세계적인 설치미술가 서도호 씨(50)와 건축가 서을호 서아키텍스 대표(48)의 ‘틈새호텔’이다.
“예술가들은 자기 작품이 랜드마크가 되길 바라죠. 하지만 랜드마크를 이어주는 틈새 공간이 없으면 도시가 성립할 수 없어요. 모세혈관이 없으면 죽는 것과 마찬가지죠.”(서 작가)
형제는 ‘반(反)기념비’적이고 ‘이동하는 집(mobile home)’이라는 역발상으로 건물과 건물 사이의 죽은 공간 살려내기를 시도했다. 광주시내를 조사하고 인근 주민의 허락을 받아 틈새호텔이 주차할 만한 12곳을 골라냈다. 반경 500m 안에 있는 식당 세탁소 편의점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부대 서비스를 제공할 서포터스도 선정했다. 투숙객은 호텔 내 키오스크에서 부대시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전 투숙객이 남긴 체험담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달 11일까지 이어지는 비엔날레 기간에는 예약자 25명을 대상으로 무료로 실험 운행을 하고 있으며 내년 2월경부터는 본격적인 운행에 들어간다.
“틈새호텔이 머무는 지역의 특징에 따라 호텔 겉면에 붉은 벽돌이나 전단이 붙은 벽 모양 등의 자석 패턴을 붙였다 떼었다 해요. 도시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위장하는 거죠. 내부엔 호텔이 갖춰야 할 모든 시설이 있습니다.”(서 대표)
“여행객은 틈새호텔에서 광주의 일상을 경험하고, 주민들은 틈새호텔로 일상의 공간을 새롭게 발견합니다. 이방인의 하룻밤 삶이 소원했던 이웃끼리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겁니다.”(서 작가)
영국 런던에 사는 서 작가는 서울에서 활동하는 동생과 함께 종종 작품 활동을 한다. 2010년 베니스 비엔날레 본전시에 초대돼 집을 소재로 공동 작업한 ‘청사진(blue print)’을 선보였다. 서울 청담동 하이트맥주 본사 미술관(2010년)에 이어 내년 초 완공되는 경기 용인시 현대·기아자동차 마북연수원의 리노베이션과 설치 작품을 맡아 협업하고 있다. 하이트 본사의 지하 1층, 지상 2층 공간을 수직으로 연결한 대형 전시 공간엔 목말 탄 소형 인물상 11만 개를 줄줄이 8m 높이로 쌓아올린 작품 ‘인과’가 있다. 마북연수원에는 현대·기아차 직원 13만 명의 얼굴 사진을 초대형 화면에 뿌리는 ‘who am we’를 설치했다.
“작은 부품 하나라도 없으면 차가 굴러가지 않듯, 직원 한 명 한 명이 모두 소중한 존재라는 걸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제목은 개인과 집단의 구분이 불분명한 우리 문화를 반영한 거예요.”(서 작가)
가정을 이룬 형제가 멀리 떨어져 살면서도 머리를 맞대고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비결은 뭘까.
“서울 성북동 한옥에서 자랐어요. 아버지(동양화가 서세옥)께서 창덕궁 연경당을 모델로 대목장 배희한 씨에게 의뢰해 7년에 걸쳐 지으셨죠. 아버지는 마당에 나무 한 그루를 심을 때도 각도를 세심하게 틀어가며 자리를 정하셨어요. 어머니는 왼손잡이인 제게 왼손잡이용 가위를 사다주셨어요. 형님과 공유하는 특별한 기억이 많습니다.”(서 대표)
“원래 각 분야 간 장벽을 허물어 삼투현상을 일으키는 작업을 좋아해요.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에서 저는 회화, 동생은 건축을 공부했는데 그 학교는 전공 속에 학생들을 가둬두지 않았죠. 그래서인지 둘이 생각이 잘 통해요. 우리 산야에 맞는 집, 전범이 될 수 있는 집을 동생과 지어보고 싶어요.”(서 작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