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꽃과의 대화]<끝>꽃들에게 희망

  • Array
  • 입력 2013년 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본인 25%가 원예 동호인

문화를 뜻하는 영어 단어는 ‘컬처(culture)’다. 그런데 원예용어인 ‘티슈 컬처(tissue culture)’를 ‘조직 문화’로 번역하면 원래 뜻과 아주 멀어진다. 여기서 컬처는 ‘배양(培養)’으로 번역해야 적당하다.

영어 컬처는 원래 라틴어 ‘쿨투라(cultura·식물을 기르다)’에서 유래했다. 인류 문명과 문화는 경제생활의 중심이 사냥과 채집에서 목축과 경작으로 바뀌면서 발전했다. 그런 맥락에서 ‘기르기’란 단어에 ‘문화’란 뜻이 담기게 된 것이다. 결국 인류의 문화는 기르기에서 시작됐고, 기르기는 인류 문화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외국 자료를 들여다보면 취미활동에서 식물 기르기(가드닝)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영국 통계국의 여가활동 빈도 조사에서 가드닝은 10위에 올라 있다. 그러나 TV 시청이나 쇼핑 등을 제외한 순수 취미활동 중에서는 음악 감상, 독서, 스포츠에 이은 4위다.

일본의 통계 자료에서는 식물 기르기가 여가활동 7위를 차지한다. 하지만 여기서도 상위에 음악과 영화감상, 게임 등이 포함된 것을 염두에 둔다면 실질적 순위는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원예 동호인은 전체 일본 인구의 4분의 1이나 된다. 미국에서는 가드닝 참여 가구 비율이 전체의 68%다.

이를 종합해 보면 많은 선진 국가에서 식물 기르기가 대표적인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이 도시생활에서 생기는 자연에 대한 무의식적인 그리움을 식물(유사 자연·pseudo nature)을 통해 채운다는 데 있다. 꽃식물 기르기는 시각적 매력은 물론이고 ‘아름다움’이라는 추상적인 결과물이 대상인 활동이다. 따라서 인간의 물질적·경제적 욕망이 덜 관여하므로 정신·심리적 치유 측면에서 큰 도움을 준다.
꽃식물은 그 아름다움을 통해 우리에게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준다. 멋진 화초와 조경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는 자신감을 높여 주기도 한다. 우리는 이런 기쁨을 이웃과 나누고 즐기면서 사회적 존재감을 확인한다.

물론 유사 자연이 원래의 자연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동물이든 식물이든 생명체를 기르는 일에는 다른 취미활동에는 없는 ‘자연과의 교감’이란 심리적 특징이 있다. 예측하기 어려운 생명체의 발달을 위하여 끊임없는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고, 대화와 아낌없는 지원도 필요하다. 결국 그 생명이 독립적이고 완전한 건강함을 이루었을 때 얻는 즐거움은 무생물을 대상으로 한 취미에서는 느낄 수 없는 희열을 불러온다.

무생물을 대상으로 한 취미활동은 기본적으로 얼마만큼의 결과가 나올지를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취미생활은 생명체와 주변의 환경 등 모든 조건의 상호관계를 통해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이런 복잡한 조건에서는 성공을 거두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생명체와 교감하면서 본능적으로 그 복잡다단한 관계를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해 생명체가 행복해졌을 때의 기쁨은 어디에도 비할 수 없다.

취미활동은 ‘화려하고 자극적인 것’과 ‘소박하고 치유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어서인지 최근 여가 생활에서 힐링(치유) 붐이 일고 있다. 자극에만 집중하던 TV프로그램에서도 힐링이란 말이 자주 등장한다. 원예활동은 당연히 치유 성격이 강한 취미다. 정신노동으로 인한 피곤함을 풀어 주는 것은 물론이고 적절한 육체 활동과 몰입 경험도 제공한다. 이런 혜택을 주는 취미는 그리 많지 않다. 더욱이 이 세상에 자신이 돌봐야만 생존할 수 있는 생명체가 있다는 느낌,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그 느낌이 얼마나 뿌듯한가.

꽃과 대화하면서 그들로부터 심신을 치유받을 수 있는 원예활동이 우리나라에서 취미 또는 문화로 정착되고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꽃들에 희망을….

서정남 농학박사·농림수산식품부 국립종자원 suhjn@korea.kr
#O2#꽃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