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 망신주는 말뚝이… 오광대는 甲의 횡포 꼬집는 풍자극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5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민속박물관 특별전으로 본 경남 탈놀음의 ‘저항 코드’

경남 오광대는 양반을 조롱하며 계급사회를 비판하는 의식이 담긴 탈놀음이다. 아기자기한 가면에서도 이런 정신은 오롯이 묻어난다. 오광대의 메인 등장인물인 말뚝이(오른쪽 위)는 평민 혹은 노비 신분이나 크기도 크고 코를 강조해 상대를 압도한다. 그 아래 빨간 애기 양반탈은 상대적으로 나약한 모습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경남 오광대는 양반을 조롱하며 계급사회를 비판하는 의식이 담긴 탈놀음이다. 아기자기한 가면에서도 이런 정신은 오롯이 묻어난다. 오광대의 메인 등장인물인 말뚝이(오른쪽 위)는 평민 혹은 노비 신분이나 크기도 크고 코를 강조해 상대를 압도한다. 그 아래 빨간 애기 양반탈은 상대적으로 나약한 모습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는 특별전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6월 24일까지)엔 유독 눈에 띄는 전시품이 있다. 경남 민속 탈놀음(가면극)인 ‘오광대’에 쓰이는 탈과 깃발들이다. 오광대는 ‘다섯 광대가 탈을 쓰고 노는 다섯 과장(판소리의 마당이나 현대극의 막에 해당)의 놀음’이다. 보통 다섯 명의 광대가 양반 말뚝이 할멈 등 1인 2역 이상을 맡아 공연한다. 지역에 따라 과장의 구성도 조금씩 다르다. 》

오광대는 다른 탈놀음과 달리 경남 지역에서만 전승돼 왔다. 오광대를 처음 연구한 민속학자 석남 송석하(1904∼1948)에 따르면 오광대는 초계 밤마리(현재 합천군 덕곡면)에서 시작돼 경남 각지로 퍼졌다. 19세기부터 경남의 지방 민속으로 자리 잡았고, 그 가운데 통영과 고성, 가산 오광대는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6호, 제7호, 제73호로 지정돼 있다. 민속박물관의 박수환 학예연구사는 “하나의 탈놀음이 같은 도내에서만 전파되어 내려온 유일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도대체 오광대의 어떤 면이 경남 백성을 사로잡아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한 걸까.

① 말뚝이는 조선의 스파르타쿠스?

오광대의 가장 큰 특징은 양반에 대한 비난과 풍자가 강하다는 점이다. 다른 탈놀음도 사회비판적 성격이 없진 않다. 하지만 오광대는 계급사회에 대한 조롱이 극 전체의 주제의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심엔 ‘말뚝이’가 있다.

오광대는 ‘말뚝이 탈놀음’이라 불릴 정도로 말뚝이의 존재감이 크다. 말뚝이의 어원은 분명치 않으나 양반이 타는 말을 다루는 하인으로 추정된다. 오광대의 ‘양반 과장’에서 말뚝이는 권위만 내세우는 양반을 철저히 망신 주는 주인공이다. 다른 지역 탈놀음은 세속종교인을 비꼬는 ‘중 과장’의 비중이 높으나 오광대는 중 과장을 없애거나 축소하고 양반 과장에 힘을 실었다. 말뚝이는 가면 자체도 코를 강조해 ‘남성적 힘’을 과시한다. 반면 양반은 언청이나 곰보 등 나약한 얼굴로 만들었다. ‘영노 과장’도 눈여겨봐야 한다. 영노란 양반을 잡아먹으면 용이 된다는 상상의 동물이다. 양반을 먹잇감으로 삼아야 승천할 수 있는 이무기. 그 존재만으로도 가히 체제전복적인 상상력이라 할 수 있다.

② 오광대는 페미니즘과 외세저항의 원조

오광대의 얼개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점도 묘미다. 이 중 고성오광대는 ‘할미영감 과장’을 강조한 게 특징. 다른 오광대는 이 과장에서도 양반 비판을 주제로 다루지만, 고성오광대는 가부장제에 희생되는 여성에 초점을 맞춘다.

내용은 이렇다. 조강지처 할미는 우연히 둘째 부인을 얻어 집을 나간 영감과 마주친다. 할미와 둘째 부인이 다투던 중 할미가 넘어져 죽는다. 상여꾼들이 할미의 상여를 메고 나가며 곡을 하는 것으로 과장은 마무리된다. 지아비에게 버림받고 생까지 마감하는 여인네의 기구한 운명을 보여주는 가면극은 조선시대에 희귀하다.

반면 통영오광대는 ‘포수사자 과장’을 중시한다. 담비를 잡아먹는 사자를 총으로 쏴 죽이는 포수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박 연구사는 “사자는 한반도에서 전통적으로 정화의 의미를 지니는 동물이나 오광대에선 해를 끼쳐 죽여야 하는 대상”이라며 “여기서 사자는 악독한 외세를, 포수는 이를 물리치는 민족 영웅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통영오광대 사자탈
통영오광대 사자탈
③ 오광대는 자생적 예술인가 제례적 행사인가

오광대는 민초의 한과 희망이 담긴 예술이다. 하지만 오로지 민중의 의지로 조선시대에 이런 발칙한 공연이 경남 곳곳에서 성행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공연을 유치할 금전적 비용을 일반 백성들이 감당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정상박 동아대 명예교수는 오광대의 흥행을 공연이 지닌 ‘토착신앙’과의 관계에서 찾아야 한다고 본다. 마을 제사나 대형 굿이 있을 때 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탈놀음을 벌였다는 시각이다. 실제로 정착보다는 떠도는 습성을 지닌 놀이패를 공식 연회에 초대하는 것은 지방관아나 유지들의 몫이었다. 정 교수는 “기존에 지역마다 뿌리내린 샤머니즘과 새로이 전파된 탈놀음이 융화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오광대에 들어있는 ‘오방신장무 과장’과 ‘문둥이 과장’은 이런 개연성을 높여준다. 오방신장은 동서남북과 중앙을 상징하는 방위신으로 춤을 추며 정화의식을 벌인다. 문둥이 과장은 문둥병에 걸린 주인공이 춤으로 한을 풀고 몸과 마음의 병을 고친다. 이런 주술성은 지역 제례와 오광대를 잇는 연결고리로 이해된다.

④ 오광대 전파의 공로자는 향리(鄕吏)

오광대 공연은 지방관청이 주로 유치했다. 여기서 실무를 담당한 것은 향리들이다. 이훈상 동아대 사학과 교수는 “지방 말단공무원인 이들 계층이 오광대를 퍼뜨린 숨은 주역”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오광대에 날카로운 저항의식이 담긴 것도 계급적 역학관계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당시 향리는 양반과 백성 사이의 중간자로서 온갖 부정부패의 주범으로 공격받았다. 입장이 난처했던 그들에게 오광대의 사회비판은 여러모로 요긴했다. 백성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줌으로써 불만을 누그러뜨리는 한편 사회 모순의 책임이 향리가 아니라 양반에게 있음을 은연중에 교육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금전을 관할하는 향리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에 오광대의 일탈도 가능했던 셈이다. 그렇다고 오광대가 가진 민중적 가치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오광대는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어 비판정신을 공연문화로 승화시킨 결과물이다. 이 교수는 “무엇보다 오광대의 예술성이 계급을 뛰어넘어 지역에 안착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정양환·최고야 기자 ray@donga.com
#민속박물관 특별전#경남 탈놀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