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국립오페라단 합치나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9월 5일 03시 00분


“박근혜정부 문화예술정책 키워드는 통합”
문체부, 예술정책토론회서 제기
“국립극단-명동예술극장도 통합… 아르코극장은 현대무용단 전용으로”

예술기관 통합을 내세운 박근혜 정부의 새 정책에 단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국립오페라단은 예술의전당(사진)과 통합되는 방안에 반발하고 있다. 동아일보DB
예술기관 통합을 내세운 박근혜 정부의 새 정책에 단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국립오페라단은 예술의전당(사진)과 통합되는 방안에 반발하고 있다. 동아일보DB
예술의전당이 공연장 대관 위주의 운영에서 벗어나 공연 제작까지 하는 극장으로 변모할 수 있을까. 박근혜 정부가 새로운 문화예술정책 키워드로 내세운 ‘통합’을 두고 벌써부터 논란이 거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4일 ‘새 예술정책 토론회’에서 국립 공연장과 국립예술단체 간 협력을 강조하면서 △국립오페라단을 예술의전당에 편입하고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을 통합하며 △한국공연예술센터와 국립현대무용단이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국립오페라단은 예술의전당에 입주한 단체 형태가 아니라 예술의전당과 긴밀한 연계체제를 갖추도록 하겠다는 내용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의 극장 시스템처럼 합창단과 오케스트라, 발레단까지 종합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구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통합법인이지만 연계성이 낮았던 명동예술극장과 정동극장을 분리하고,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을 통합해 창작 콘텐츠를 보유한 전용극장으로 만들며, 한국공연예술센터의 아르코예술극장을 국립현대무용단의 전용 공연장으로 활용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름이 거론된 국립예술단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통합이 이뤄질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당장 국립오페라단 측은 “오페라는 종합예술인데 오페라단만 단독으로 극장에 속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도 박수길, 정은숙 전 국립오페라단 단장, 작곡가 이영조, 연출가 장수동 김학민, 지휘자 성기선 등 오페라계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해 국립오페라단의 향방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음악평론가 문일근은 “국립오페라단을 예술의전당 아래 두는 것은 잘못된 일이며 국립오페라단의 기능과 규모가 줄어들지 않는 편입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김정훈 문체부 공연전통예술과장은 “예술의전당을 종합창작소로 만드는 마스터플랜을 세우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다. 현실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실행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또 “통합이나 연계로 조직이나 기능이 축소되거나 지원이 줄 거라는 공연예술계의 우려가 나오는데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공연예술계와 관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최준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는 “국공립 공연장이 제작 시스템을 갖춰야 하며 그 과정에서 예술단체들이 처한 여러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승빈 명지대 행정학과 교수는 “예술단체들의 기능과 역할이 서로 중첩되면서 엇비슷해지고 있다.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지적했다.

이 밖에 국립예술자료원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편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서울예술단을 어린이·청소년 전문 공연예술단체로 전환하는 방안도 나왔다.

조이영 기자 lycho@donga.com
#예술의전당#박근혜 정부#국립오페라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