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문화
[종합뉴스]5월 복구 마친 숭례문, 벌써 단청 갈라지고 벗겨져
채널A
업데이트
2013-10-09 00:03
2013년 10월 9일 00시 03분
입력
2013-10-08 22:07
2013년 10월 8일 22시 0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채널A 방송화면 캡처.
[앵커멘트]
많은 돈과 공을 들여서 고친 차가
한달만에 칠이 벗겨졌다면
기분이 어떻겠습니까?
불탔다 복원된
국보 1호 숭례문에서
그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부실 복원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박창규 기잡니다.
▶
[채널A 영상]
지난 5월 복구 마친 숭례문, 벌써 단청이…
[리포트]
알록달록 단청이 오래된 건물 페인트처럼 갈라지고 벗겨졌습니다.
지난 5월 복구 작업을 마친 숭례문의 서까래 부분입니다.
화재로 파손됐다가 복원한 지 한달 뒤부터
이런 현상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두 군데가 아닙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것만도 최소 20여 군데.
숭례문 현판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비롯해
남대문 시장 쪽 서까래 부분에도 벗겨진 단청이 발견되는 등 범위도 넓습니다.
숭례문을 이루는 기둥이 3000여 개 정도 된다는 걸 생각하면 아직 발견하지 못한 부분도 있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원인은 뭘까.
[홍창원 / 단청장]
"녹색 바탕 위에 붉은 색을 칠하면 칙칙하거든요. 그래서 안료층에 호분(조개 가루)를 두번 칠하다보니 안료층이 두꺼워져서 탈락이 된 거죠"
단청의 붉은 색을 뚜렷하게 하려고 조개 가루를 덧칠했는데 두께가 너무 두꺼워 떨어져 나갔다는 겁니다.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접착제인 아교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에다
아예 조개 가루를 써선 안되는 거였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녹취 / 황평우]
"어떤 것이 원인인지 모르는 게 문제예요. 우리나라 전통 안료가 페인트 벗겨지듯이 쭉쭉 벗겨지는 경우가 어디 있어요."
부실복원 논란 속에 문화재청은
이달 말까지 원인 조사를 계속한 뒤
보수 공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채널A 뉴스 박창규입니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韓 증시 트럼프에 적응했나? 관세 악재에도 2600선 눈앞…외국인 이탈은 여전
美, ‘北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中압박 동참 요구는 거세져
[단독]‘미키17’ 원작소설 작가 “봉준호와 나의 공통점은 ‘어두운 유머 감각’”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