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6일 일요일 맑음. 죽은 식물.
#103 Bang on a Can All-Stars ‘Field Recordings’(2012년∼)
록 팬들에게 식목일은 슬픈 날이다.
레인 스탤리(미국 록 밴드 ‘앨리스 인 체인스’ 보컬·1967∼2002)와 코지 파월(블랙사바스, 레인보를 거친 드러머·1947∼1998)의 기일이다. 미국 록 밴드 너바나의 리더 커트 코베인(1967∼1994)이 자신의 머리에 산탄총을 쏴 자살한 날이다. 세계 록 음악의 물줄기를 틀어버린 뒤 세상을 떠난 그를 추모하는 콘서트는 올해에도 세계 곳곳에서 열렸고, 고인의 20주기를 맞아 트위터에는 ‘#cobain20’이라는 해시태그(꼬리 글)를 단 추모 글과 사진이 넘쳐났다.
이제 와 고백하지만 내가 학창시절에 기타 연습을 게을리한 건 전적으로 코베인 탓이다. 음향이 한껏 증폭된 전기기타 줄을 자학하듯 난폭하게 그어대는 그의 ‘될 대로 돼라’ 식 연주를 어설프게 흉내 내며 난 비운의 로커 역을 연기한 거다.
비슷한 맥락으로, 난 ‘뉴욕 클래식계를 발칵 뒤집은…’ ‘틀에 박힌 음악이 싫다면…’ 같은 홍보문구를 단 미국의 실험음악 집단 ‘뱅 온 어 캔 올스타’의 공연을 기대하지 않았다. ‘뱅 온 어 캔’은, 1980년대 말에 예일대에서 클래식 작곡을 전공한 세 작곡가가 정통 클래식과 뉴욕의 실험음악 사이의 경계를 부수기로 결의해 만든 집단이자 운동이라고 했다.
‘뭐가 됐든, 고전 교수법에 의해 훈육된 이들이 펼치는 파격이란 태생적으로 한계가 있을 것’이란 나의 냉소는 지난주 서울 테헤란로에서 이들의 공연을 본 뒤 좀 망가졌다.
일단 난 1부 무대를 ‘변칙박자를 앞세운 새롭지 않은 미니멀리즘 앙상블’ 정도로 애써 평가절하했다. 근데, 무대 위 6인조가 미리 준비된 일상의 소리나 영상과 협연한 2부의 ‘필드 리코딩 시리즈’는 눈과 귀를 모두 뗄 수 없게 만들었다.
정원을 산책하는 고양이의 목에 매달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라이브 연주와 겹쳐낸 ‘진 테이크스 어 드링크’, 현대음악가 존 케이지의 내레이션에 정교하게 리듬과 선율을 부여한 ‘언 오픈 케이지’는 클래식 전공자들 특유의 치밀한 연주력과 근면성이 아니면 불가능할 것 같은 파격이었다.
최근 미국 시애틀 경찰이 코베인의 미공개 사망 현장 사진 몇 장을 공개했다. ‘천천히 사라지느니 한 번에 타버리는 게 낫다’로 끝나는 그의 유서는 화단에 떨어져 있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