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갑식 기자의 뫔길]인도 불교성지서 ‘땅밟기 테러’라니…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인도 북동부 부다가야는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성도지(成道地)로 탄생지 룸비니, 최초 설법지 사르나트, 열반지 쿠시나가르와 함께 불교 4대 성지로 꼽힙니다.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최근 이 사원에서 벌인 개신교 신자들의 이른바 ‘땅 밟기’ 동영상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땅 밟기는 개신교 불모지를 직접 밟으며 전도하는 선교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영상을 보면 젊은이 3명이 사원 내 대탑 입구에서 찬송가를 부르며 개신교식 기도를 하고 있습니다. 한 스님이 중지할 것을 요청하자 이들은 “구원받지 못한 이들이 불쌍해 하나님을 전하는 것”이라고 대꾸했답니다.

땅 밟기가 문제가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2010년 서울 강남구 봉은사에서 한 선교회 교육생들이 사찰이 무너지길 기도하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유튜브에 올랐고, 같은 해 개신교 신자 10여 명이 미얀마 사찰에서 예배하는 영상이 인터넷에 퍼지기도 했습니다.

비슷한 사례들을 접할 때마다 의문이 꼬리를 뭅니다. 도대체 누가 누구의 땅을 왜 밟는 걸까요? 땅을 밟으면 밟힌 쪽이 개종이 되거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건가요?

한 신학자는 “본래 땅 밟기 기도는 영어식 표현인 ‘걷기기도(prayer walking)’를 번역한 것으로 걸으면서 하는 기도였다. 그러나 현재 땅 밟기 기도는 영적 대결을 추구하는 선교 운동의 한 분파적 사상이 주도해왔다”고 합니다.

땅 밟기는 개신교 내부에 남아있는 과거의 십자군식 발상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11세기 말에서 13세기 말 사이 서유럽 기독교 국가들은 성지 예루살렘을 이슬람교도들로부터 해방시킨다는 명분으로 십자군 전쟁을 감행했습니다. 하지만 이 전쟁이 약탈과 약소국가에 대한 엉뚱한 공격으로 번진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땅 밟기는 자신의 내면과 세상을 위한 기도가 돼야지, 우월적 위치에서 다른 이들을 구한다는 비정상적 선교가 돼서는 안 됩니다. 그 생각을 버리지 않는다면, 땅을 밟으면 밟을수록 그 땅은 좁아질 뿐입니다.

김갑식 기자 dunanworld@donga.com
#땅밟기#개신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