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조숭호]귀국길 교황에 “들러달라” 매달린 日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20일 03시 00분


일본이 한국과 관련된 외교에서 조바심을 내는 모습을 잇달아 표출하고 있다. 겉보기에 의연한 척하는 것과는 달리 한국을 대결 상대로 보고 외교적 우위에 서기 위해 안달하는 모습처럼 보인다.

14∼18일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은 그의 첫 아시아 국가 방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일본은 교황이 한국에서만 집중 조명을 받는 것이 불편했는지 서울공항을 떠나기 직전까지 ‘일본도 들러 달라’고 집요하게 요청했다고 한다. 한국 단독방문을 시샘한 행동이라는 해석이 많았다.

또 일본은 18일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교황 집전 미사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초청된 사실을 알고는 어떤 메시지가 오갈지, 교황과 별도의 면담이 이뤄질지를 파악하느라 분주했다는 후문이다. 일본은 왜 교황이 분단국인 한국을 택했고, 위안부 할머니들을 명동대성당 맨 앞줄에 초대했는지에 대한 의미를 읽지 못한 채 겉모습만 본 것 아닐까.

앞서 올해 4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방일 당시 일본은 한국 방문이 성사되지 못하도록 다양한 외교적 압박을 서슴지 않았다. 일본 단독 국빈방문이 돼야 의미가 더 커진다고 생각한 탓이다.

국제회의에서도 일본의 조바심 외교를 흔치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일본은 10일 미얀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납북자 문제를 논의하는 북-일 교섭에 대해 ‘환영한다(welcome)’는 표현을 의장성명에 넣자고 강력히 요구했다. 동북아의 외톨이인 북-일이 밀월관계로 가는 것을 국제사회에서 추인받기 위한 발버둥이었다. 국제 정서와 거꾸로 가는 일본에는 ‘도둑이 제 발 저린’ 격이란 표현이 딱 어울린다.

일본이 강력한 로비력으로 회의 종료 후 4일이 지나도록 압박했지만 의장성명은 일본의 기대와 달리 납북자 교섭에 ‘주목한다(note)’는 중립적인 표현에 그쳤다.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국력에 걸맞은 존경을 받지 못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군사력 팽창과 돈을 앞세운 ‘속 보이는’ 외교로 세계인의 마음을 살 수는 없다. 거듭된 구애에도 불구하고 교황이 왜 차기 아시아 방문국으로 스리랑카와 필리핀을 택했는지 일본은 잘 생각해보기 바란다.

조숭호·정치부 shcho@donga.com
#일본#교황 귀국#프란치스코 교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3

추천 많은 댓글

  • 2014-08-20 07:59:02

    강산이 수백번 바뀌어도 일본인들의 야비함과 섬나라 근성은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우리의 국력을 강하게 만들고 못된 이기심을 버리면 언젠간 일본은 지겨울 정도로 우리의 도움을 구걸하게 될 것입니다.

  • 2014-08-20 06:46:21

    강한 자에게는 굽실거리며 손바닥 비벼대고, 약한자라고 생각되면 집적거리고 해코지 할려 하는 전형적인 섬민족의 근성이 일본인이다. 교황은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있어보이니까 갈매기눈으로 손바닥 비벼대며 애교를 떨었겠지, 불쌍해보이다.

  • 2014-08-20 05:45:01

    올림픽이 그리 대단하냐? 후구시마 원전의 방사능 측정에 더 신경써라. 가미가제 정신을 열도의 자존심만 찾지말고 이웃을 위해 배려해 봐라. 속 좁은 인간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