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47은 적시의 삭감. 48은 일류감각. 흑 2점을 공격하면서 중앙의 주도권을 완전히 잡고 있다. 좌우 동형은 중앙이 급소라는 바둑의 격언이 꼭 들어맞는 수다. 바둑에서 가장 단단한 형태가 삼각형과 사각형인데 48이 흑의 삼각형을 방해하고 있다.
보통은 참고 1도처럼 백 1로 받는 게 먼저 떠오르지만 좋지 않다. 흑 2, 6을 선수해 맛을 남겨놓고 흑 8, 10으로 두면 흑이 중앙 주도권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좌하귀에서 ‘가’로 두면 바로 수가 난다.
50의 응수타진에 51도 실착. 참고 2도처럼 흑 1로 치중해야 했다. 백은 백 2로 두어 백 4까지 팻감을 만들고 백 6으로 둘 것이다. 흑은 흑 7부터 흑 11까지 버텨야 하는 곳. 백 12의 패가 어떻게 전개되는지가 서로 어렵다. 어쨌든 흑은 이렇게 둘 자리였다. 51로 받았지만 백이 패로 사는 맛 등이 남았다.
김지석 9단은 52, 54로 뚫어 흑 1점을 차단했고, 안국현 5단은 55로 미끄러져 타개했다. 하지만 백은 60으로 석 점 머리를 두드린 데 이어 62로 기분 좋게 선수를 하고 대망의 64의 자리를 차지했다. 백의 호조. 흑은 우변과 중앙의 백 모양을 어떻게 삭감할 것인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