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애들은 인사를 안 해”…직장생활 10년, 나는 어땠을까?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4월 6일 17시 56분


코멘트
“과거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인재(人災)’를 예방하고, 적재적소에 선수를 배치에 경기를 승리로 이끌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과거는 현재의 관점에서만 질서정연하게 보인다.”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최인철·21세기북스·2009년)

직장생활 10년 만에 ‘꼰대’가 돼 버렸다. 후배들이 화제에 오를 때마다 “요즘 애들은 인사를 안 해”라는 말이 튀어나온다. 여기에는 ‘나는 그러지 않았다’는 착각이 배어 있다. 조지 베일런트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애벌레가 나비가 되고 나면 처음부터 자신이 작은 나비였다고 주장한다. 성숙의 과정이 모두를 거짓말쟁이로 만든다”고 꼬집는다.

과거에 대한 회상은 ‘다시보기’가 아니다. 새로운 창조의 작업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인 저자는 사람들이 회상해내는 자신의 과거 모습은 과거의 실제 모습이 아니라 현재의 모습을 더 닮는다고 말한다. 현재의 프레임으로 과거를 평가하거나 다시 빚어낸다는 얘기다. 결과론적 지식을 가지고 ‘내 그럴 줄 알았지’라고 말하는 일도 잦다.

어떤 결과든 사후에는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한 부부가 입양하게 되면 임신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치자. 우리는 “당연하지. 임신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테니”라고 말한다. 반대로 “입양하면 임신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온대도 “당연하지. 임신하려는 노력을 더 이상 안 할 테니”라고 응수한다.

하지만 입양 전의 상황에서 이렇게 단언할 수 있었을까. 이미 벌어진 일들의 결과로 둘러싸인 현재에선 과거가 예견 가능했던 시공간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현재 프레임’이 만들어낸 그럴싸한 눈속임에 불과하다. 이에 저자는 ‘내 그럴 줄 알았지’라고 비아냥거리기보다 ‘정말 앞을 내다볼 수 있었을까’하고 자문해보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동시에 지금의 시련이 꼭 과거 잘못된 선택의 귀결이라고 통탄할 필요도 없다. 현재 정답으로 보이는 선택을 당시 했대도 어떤 변수에 따라 결과거 어떻게 달라졌을지 아무도 모를 일이다.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