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현의 힐링 미술관]풍선을 부는 첫 숨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8월 25일 03시 00분


‘The Bubble Boy’ 폴 필, 1884년.
‘The Bubble Boy’ 폴 필, 1884년.
언제부턴가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고 할 때마다 우리의 마음에 제동을 거는 생각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너무 늦은 건 아닐까?’와 ‘내가 과연 할 수 있을까?’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가 그 일을 할 수 없다고 이해하게 하는 수많은 이유가 따라붙습니다. 너무 늦은 나이여서, 현재 하는 일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없어서, 체력이 부족해서라고요. 그렇게 그만둬 버린 마음들이 벌써 얼마나 되는지 셀 수가 없습니다. 어느덧 한 해의 절반이 훌쩍 넘게 지나버린 지금, 지키지 못한 새해 다짐을 떠올리듯 씁쓸한 기분이 밀려듭니다.

하지만 우리가 새로운 일에 제대로 시동을 걸지 못한 이유는 어쩌면 마음의 임계점을 넘기지 못했던 탓은 아닐까요. 물이 끓기 위해서는 꼭 100도가 되어야 하고 풍선이 부풀어 오르기 위해선 커다란 첫 숨이 필요합니다. 훅, 하고 크게 숨을 불어넣지 않으면 풍선은 부풀어 오르지 않고 오히려 저 멀리 날아가 버리기만 합니다. 크게 숨을 불어넣었다고 해도 입구를 느슨하게 물고 있으면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기껏 만든 큰 숨이 입구 주변으로 흘러나가 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림 속 아이는 아마도 이 사실을 알고 있는 모양입니다. 비눗방울을 만들기 위해 귀가 빨개질 정도로 힘을 주고 있습니다. 눈을 질끈 감고 볼을 부풀리고 있는 모습이 어딘지 사뭇 비장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모든 시작은 이렇듯 이만한 큰 숨이 필요한 것 아닐까요?

항상 일을 실패해서 “나는 아무 일도 할 수 없어. 하는 일들마다 실패야. 난 재수가 없는 사람이야” 이렇게 말하는 L 군이 생각납니다. 왜곡된 인지를 갖고 있는 것이지요. 이런 생각을 하다 보니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가 더 어렵게 되는 것이지요. 일이란 실패를 하면서도 계속 시도하고 경험하면서 터득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겪기도 전에 두려운 것입니다.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다. 균형을 잡으려면 움직여야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이 한 말입니다.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은 우리가 건강한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추가 선택지가 아니라 필수 요소인지도 모릅니다.

이제 새로운 풍선을 불기 위해 가슴을 부풀려 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림 속 아이처럼 야무지게 다문 입술로 결심이라는 빨대를 물고, 큰 숨을 불어넣어 보세요. 그렇게 한번 비눗방울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면 이를 더 크게 만드는 방법은 이제 간단합니다. 그저 숨을 놓지 않고 있기만 하면 되니까요.

김선현 차의과학대 미술치료대학원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