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골목 다섯 가족이 알콩달콩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나온 대사다. ‘단디’라는 말이 찡하게 와 꽂혔다. 단디는 ‘단단히’ ‘제대로’를 뜻하는 경상도 방언이다. 아직 표준어로 인정해야 할 만큼 세력을 얻진 못했지만 향토색 물씬 풍기는 정감 있는 낱말임에 틀림없다.
‘쇳대’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은 아시겠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우리 사전에 따르면 쇳대는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남 함경 지역에서 쓰는 ‘열쇠’의 사투리다. 이상하지 않은가. 전국적으로 쓰는 낱말임에도 왜 방언으로 묶어놓았을까. 혹여 ‘현대 서울말’이 아니라는 이유로 방언을 차별해 온 우리 언어 정책의 희생양이 된 건 아닐까.
많은 이의 입맛을 사로잡은 과메기와 홍탁, 전국적으로 도보여행 열풍을 몰고 온 제주 ‘올레길’과 ‘오름’도 언어의 세계에선 쇳대와 비슷한 처지다. 청어나 꽁치를 얼리면서 말린 과메기는 지금껏 경북지역 사투리다. 그런가 하면 홍어와 탁주를 합쳐 부르는 홍탁과 ‘좁은 골목’이란 뜻의 제주 방언 올레와 올레길은 사전에 아예 오르지 못했다. 오름 역시 ‘산’과 ‘산봉우리’의 제주 방언으로 묶여 있다.
한때 방언이었던 ‘멍게’가 표준어인 ‘우렁쉥이’보다 입길에 더 오르내리는 건 뭘 뜻할까. 사전은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할 수밖에 없겠지만 언중이 즐겨 쓰는 낱말들은 표제어로 삼아야 함을 말해준다. 사람들은 홍탁을 뛰어넘어 ‘홍탁삼합(洪濁三合)’까지 입길에 올리고 있다. 홍탁삼합은 홍어, 삶은 돼지고기, 그리고 김치 세 가지를 합해 만든 요리를 말한다.
우리 조상들이 즐겨 마시던 ‘탁배기’도 그렇다. 탁주는 막걸리와 동의어라면서 ‘탁배기’는 막걸리의 경상도 방언 또는 북한어란다. 그러다 보니 탁배기는 어느새 입길에서 멀어져 버렸다. 똑같은 술을 마시면서 북한 사람은 탁배기잔을, 우리는 막걸리잔을 기울이는 꼴이라니, 거참.
국립방언연구원 설립 추진을 위한 학술회의가 지난해 10월 말 열렸다. 방언을 ‘단디’ 보존하는 건 문화와 언어 다양성을 유지, 발전시키는 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새해에는 홍탁과 과메기, 올레길, 오름 등 삶의 향기가 오롯이 배어 있는 낱말들을 입길에 자주 올려 보자. 그래야 우리말이 살찐다. 단디 하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