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만화 영웅들, 지금은 모두 어디로…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스포츠만화를 보면서 꿈을 키웠습니다.”

이승엽 선수(삼성 라이온즈)의 말이다. ‘독고탁’으로 유명한 이상무 화백이 3일 별세한 후 기자는 야구선수들과 주변인에게 전화를 걸어 독고탁에 대한 추억을 물었다. “넘어지며 던지는 독고탁의 마구 ‘드라이브볼’을 흉내 내다 팔꿈치가 다 까졌다”며 어린 시절 마음을 가득 메운 스포츠만화 속 주인공들을 추억하는 사람이 많았다.

‘공포의 외인구단’의 주인공 ‘까치’ 오혜성도 또 다른 영웅이었다. 야구 애니메이션 ‘황금의 팔’(1983년)의 훈이를 기억하는 사람도 많았다. 허영만 화백의 ‘무당거미’ 주인공 이강토와 고 박봉성 화백의 ‘신의 아들’ 최강타도 권투 영웅으로 거론됐다. ‘달려라 하니’ 중 주인공 하니의 투지를 기억하는 여성도 적지 않았다.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도전자’의 헝그리 복서 ‘훈이’와 ‘내일의 죠’의 권투선수 야부키 죠가 있었다.

1990년대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는 ‘슬램덩크’ 강백호와 서태웅, 전세훈 작가의 ‘슈팅’ 주인공 나동태, 러브스토리와 야구를 결합한 ‘H2’의 주인공 히로 등이 가슴속 별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청소년기를 보낸 이들에게 스포츠만화 영웅을 물으면 고개를 갸웃거린다. 대학생 김윤성 씨(26)는 “기억에 남는 스포츠만화가 없다”고 말한다. 네이버 웹툰을 봐도 개그, 판타지, 액션, 드라마, 스릴러 등의 장르에는 수십 개의 작품이 연재 중인 반면 스포츠 장르는 자전거 경주를 다룬 ‘윈드브레이커’ 등 두 작품만이 연재 중이다. ‘다이아몬드 에이스’ ‘쿠로코의 농구’ ‘테니스의 왕자’ 등 2010년대에도 인기 스포츠만화가 일부 존재하지만 폭발력이 예전만 못한 형편이다.

스포츠만화 영웅은 왜 사라졌을까? 장비, 동작 등 경기 속 모습을 표현하려면 작화와 연출 실력에다 스포츠 전문지식까지 갖춰야 한다. 웹툰 ‘라이징패스트볼’의 박현수 작가는 “실제 스포츠 영상을 하나하나 캡처한 자료를 토대로 야구 장면을 그렸다”고 설명했다. 만화잡지 ‘코믹챔프’ 이봉석 편집장은 “예전에는 협업 시스템이라 스포츠만화를 그리기 용이했지만 요즘은 대부분 혼자 만화를 그리기 때문에 경기 장면을 세세히 표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세인 웹툰에는 스포츠만화가 적합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장상용 국장은 “콘텐츠 소비 패턴이 빨라지면서 ‘마음의 소리’(조석)처럼 짧게 개그로 풀어내는 ‘생활툰’이 인기다. 스포츠만화는 호흡이 길고. 유머 코드가 들어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독자들이 접하는 스포츠의 현실이 만화를 능가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1990년대 초반까지는 국내 프로 스포츠가 영세한 데다 해외 스포츠를 접할 기회가 적었다. 덩크슛이나 시속 155km 강속구는 만화 속 주인공이나 가능했다. 박석환 한국영상대 만화콘텐츠과 교수는 “마이클 조던은 스포츠만화 주인공보다 더 농구를 잘하지 않나. 케이블TV나 인터넷으로 메이저리그, 유로축구를 보면서 스포츠만화에서 접하던 판타지를 실제 경기에서 얻게 됐다”고 말했다.

사회 분위기의 영향도 있다. 과거에는 가난한 주인공들이 노력으로 최고가 되는 모습에 독자들이 카타르시스를 느꼈지만 요즘에는 ‘흙수저’란 유행어에서 보듯 노력해도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는 자조가 팽배하다. 김헌식 문화평론가는 “스포츠만화가 대리만족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앞으로는 스포츠 영웅보다는 사회인 야구나 레저 같은 참여형 스포츠를 다룬 만화가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