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어처구니없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손진호 어문기자
손진호 어문기자
국회의원 선거일이 3개월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선거구가 없는 나라가 있다. 대한민국이다. 이 때문에 국회는 1965년 한일협정 비준동의 무효 소송의 ‘피고’가 된 이후 51년 만에 다시 직무유기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됐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다.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힐 때 ‘어처구니없다’ 혹은 ‘어이없다’고 한다. ‘어처구니’와 ‘어이’는 무슨 뜻일까. 사전은 어처구니를 ‘상상 밖으로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바윗돌을 부수는 농기계의 쇠로 된 머리 부분’ 또는 ‘궁궐이나 성문 등의 기와지붕에 얹는 사람이나 동물 모양의 토우(土偶·흙으로 만든 인형)’라는 이도 있다.

‘어이’는 어처구니와 같은 뜻으로 어처구니처럼 ‘-없다’와 함께 쓴다. 지난해 영화 관객이 1위로 꼽은 명대사는 관객 1300만 명을 기록한 ‘베테랑’의 “어이가 없네”였다.

‘베테랑’에서 재벌 2세 조태오가 맷돌에 달린 나무 손잡이를 어이라고 한 것을 두고 어처구니가 옳다고 지적한 글도 있었는데 이는 어처구니의 뜻을 둘러싼 여러 설(說)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항범 충북대 교수는 어처구니의 어원은 모호하지만 지역에 따라 ‘얼척’(경상, 전남 방언)이나 ‘얼처구니’(경남)로 쓰이는 것을 보면 본래 어형은 ‘얼척’에 가까웠을 것이라고 본다. ‘얼척’에 접미사 ‘-우니’가 붙어 ‘얼처구니’가 되고 ‘ㅊ’ 앞에서 ‘ㄹ’이 탈락해 어처구니가 됐으리라는 추정이다.

전혀 근거가 없어 허황하다는 뜻의 ‘터무니없다’도 재미있다. ‘터무니’는 본래 ‘터를 잡은 자취’란 뜻이었는데 ‘정당한 근거나 이유’라는 의미로 확장됐다. ‘터무니없는 거짓말’ ‘터무니없는 생각’처럼 터무니도 거의 ‘-없다’와 결합해서 쓴다.

‘터무니없다’와 비슷한 말이 ‘턱없다’이다. ‘턱없다’의 ‘턱’은 ‘마땅히 그리하여야 할 까닭이나 이치’를 말한다. 그래서 ‘말도 안 돼’ ‘그럴 리 없어’ ‘이치에 맞지 않아’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그런데 요즘 ‘턱도 없다’ 대신에 ‘택도 없다’라고 쓰는 사람이 많다. 당연히 틀린 말이다. 허나 ‘택도 없다’가 훨씬 의미가 강하다는 점에서 말맛의 차이는 크다. 현대말이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는 좋은 예가 될 듯도 하다.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