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원의 옛글에 비추다]자식을 잃은 슬픔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4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참으로 나에게 이러한 슬픔이 없도록 하는 길은
애초 네가 태어나지 않았어야 하는 것인데,
아니라면 내가 죽은 뒤에나 이 슬픔 없어질 것이다
 

眞使余無悲者 初汝不生 不則余死而後可
진사여무비자 초여불생 부즉여사이후가
 
― 강박 ‘국포집(菊圃集)’


 
강박(姜樸·1690∼1742)은 16세의 아들을 먼저 보내고 그 아들의 두 번째 제사를 맞이하였다. 제삿날 아들을 위한 제문에서 2년간 느껴 왔던 슬픔을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위의 말로 글을 맺고 있다.

새벽이 오면 슬프고, 해가 지면 슬프고, 풀이 돋고 꽃이 피면 슬프고, 비바람 불고 눈서리 치면 슬프고, 아무도 없이 혼자 앉아 있노라면 슬프고, 때때로 멀리 바라보자면 슬프고… 너와 비슷한 나이의 사람을 만나면 슬프고, 네가 예전에 어울리던 친구들을 보면 슬프고, 멀리 외출할 때에 문에서 전송하는 사람이 없으면 슬프고, 저녁에 돌아왔을 때 집에서 기다리는 사람이 없으면 슬프고, 책을 읽으며 공부하는 사람을 보면 슬프고… 길에서 모습이 맑으면서 기가 약한 소년을 보면 너와 비슷한데 살아있는 것이 부러워 슬프고, 용모가 거칠면서 기가 센 소년을 보면 네가 저 사람 같지 않아 죽은 것이 슬프고….

슬프고 또 슬프다. 어느 순간 슬프지 않은 때가 없고, 슬픔은 끝없이 이어진다. 애초 이 아들이 태어나지 않았다면 이런 슬픔이 없었겠지만, 그럴 수 있는 일이 아니니 자신이 죽은 뒤에야 이 슬픔이 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슬프지 않은 죽음이 어디 있겠는가마는 어느 정도 세월이 지나면 지나간 세월만큼 슬픔도 엷어지게 마련이다. 그러나 아무리 세월이 지난다 해도 결코 엷어지지 않는 슬픔이 있으니, 어린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의 슬픔일 것이다. 어쩌면 그 세월 속에 슬픔이 더욱 쌓여만 갈 것이다. 당사자가 아니고서는 그 슬픔이 어느 정도일지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잊지 않고 함께 기억해 주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인지도 모른다.

제사를 지내는 아버지는 마지막으로 아들에게 말을 건넨다. “아아, 너는 이리로 와 차린 음식을 먹어라.”

강박의 본관은 진주(晉州), 호는 국포(菊圃)다.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 등을 지냈다.
 
이정원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강박#국포집#아버지#아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