띵. 멘털 붕괴. “설, 설마.” 말까지 더듬었다. 아닐 거야. 주위를 두 바퀴나 돌았다. 절망 직전, 찾아낸 앞문 귀퉁이 작은 두 글자. ‘정문.’
“이것 봐, 있잖아! 내가 뭐랬….”
친구의 접대용 ‘썩소’. 민망, 당분간 연락 말자.
다음 날, 다시 명동. 다른 백화점도 ‘도긴 개긴’이다. 모두 외국어고 한국어는 고작 ‘△층 ××홀’ 정도. 명동대로는? 25년 산 도시에서 까막눈이 돼버렸다. 한 화장품가게 점원을 붙들고 왜 이러냐고 따져봤다. “선머(什요·뭐라고요)?” 헉, 한국말 못 한다.
“그런 지 꽤 됐습니다. 중국인 관광객 위주다 보니. 요샌 중국동포나 중국인 아르바이트생이 훨씬 많고 시급도 높아요. 간판도 불법이라 벌금 물며 하는 겁니다. 내국인에겐 불편한 점이 적지 않죠. 정말 큰일이에요.”(이동희 명동관광특구협의회 사무국장)
왜? 상인들은 어쨌건 장사 되면 좋잖아. 그게 그렇지도 않단다. 협의회에 따르면 명동을 찾은 한국인은 2011년 10만여 명에서 지난해 약 8만 명으로 줄었다. 이 국장은 “자국민이 등 돌리면 결국 외국인도 흥미를 잃는다”며 “실제 2, 3년간 유동인구는 20% 이상 늘었지만 매출은 5% 성장에 그쳤다”며 걱정했다.
뭐, 그래도 관광객이 만족하면 감수할 불편 아닐까. 지난해 서울에 왔던 중국계 캐나다인 A 씨를 메신저로 불러냈다. 어쨌든 편하지 않았느냐고.
“솔직하게? 별로였어. 중국 외갓집 들른 느낌. 이국적인 맛이 없다 할까. 말 좀 안 통해도 그게 또 재미인데. 하나 더. 개인적으로 한글 참 예뻐. 근데 ‘한국인은 모국어 싫어하나’ 싶었어. 간판은 중국어, 입은 티셔츠는 죄다 영어던데.”
2차 붕괴. 맞다. ‘과티(학과 티셔츠)’ 이후 한글 옷 쳐다본 적도 없다. 이거 문화적 자존감 문제였나. 한국관광문화연구원의 최경은 박사에게 심란한 맘을 털어놨다.
“동전의 양면이죠. 정체성 유지와 관광 활성화는 원래 균형 잡기 어렵습니다. 최근 유커(遊客) 잡기 열풍은 세계적 현상입니다. 일본도 유럽도. 관광객이 줄면 왜 더 적극적이지 않았느냐고 하겠죠. 항상 고민할 이슈지만 비하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긴. ‘친절하다’와 ‘배알도 없다’는 한 끗 차이다. 모든 일이 그렇듯. 언젠간 아름다운 한글 가게 앞 외국인 단체촬영을 볼 날도 오려나. 먼저 인터넷에서 한글 티셔츠부터 찾아봐야겠다. 그나저나 이럴 땐 뭔 노래가 당길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