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다각화-웹콘텐츠 활성화 통해 對中 의존도 줄여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中 사드 보복’ 직면한 한류의 활로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에 반발한 중국의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규제설이 일면서 한류산업 시장에 ‘위기론’이 감돌고 있다. 업계는 섣부른 예단을 경계하면서도 △해외시장 다각화 △국경과 상관없는 웹 콘텐츠 등 새로운 유통경로 개발 △완벽한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등을 통해 안정적 한류 산업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 한류, 현지화 전략으로 대응해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산업의 중국(홍콩 포함) 수출액은 2014년 기준 약 13억4123만 달러(약 1조4481억 원)로 전체 수출액 중 26.2%를 차지했다. 지역·국가별로는 일본(약 15억9747만 달러) 다음으로 높다. 한류 엔터테인먼트산업 대표주자인 SM과 YG, JYP의 경우 중국 매출 비중이 각각 35%와 20%, 20%를 차지하고 있다.

한류 문화상품 시장의 다양한 경로 마련이 시급한 것도 이 때문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인 ‘비키’의 소성민 이사는 “중국에서 한류의 독점적 지위는 언제라도 위협받을 수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유럽과 아랍 지역을 중심으로 지원 투자 계획을 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는 움직임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SM은 2011년 태국 최대 미디어 그룹인 ‘트루 비전스 그룹’과 현지 합작법인 ‘SM 트루’를 세우는 등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 영화 투자배급사 CJ E&M은 베트남과 태국, 말레이시아에 진출해 큰 성과를 거뒀고, 터키와 미국 진출도 준비 중이다. YG와 JYP 역시 미주 지역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대형업체와 손잡고 완벽한 현지화를 통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영화 배급투자사 쇼박스는 올해 하반기 중국에서 한중 합작영화 ‘뷰티풀 액시던트(美好的意外·미호적의외)’를 개봉할 예정이다. 쇼박스 관계자는 “중국 화이브러더스미디어 주식유한공사와 손잡고 만든 작품이라 한류 제재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배급투자사 NEW 역시 중국 화처미디어그룹과 현지 회사를 차렸기 때문에 영화 제작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 신산업 유통구조 활성화와 정부의 위기대응전략 마련도 중요


이참에 기존 콘텐츠 수출입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의 문화콘텐츠 유통 경로를 개발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세계 최대 동영상 서비스 기업 넷플릭스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방송시청(OTT) 서비스와 ‘웹드라마’ ‘웹툰’ 등 웹 콘텐츠 서비스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드라마 PD는 “전통적인 TV 드라마나 음반 판매에서 벗어나 웹을 기반으로 한 시장을 구축하면 최근과 같은 사례가 벌어져도 치명적 타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가 한류 콘텐츠 위기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중국 콘텐츠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1673억 달러(약 185조5524억 원). 4년 뒤인 2019년에는 2475억 달러(약 274조5022억 원)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위기를 맞아 손놓고 있다간 급변하는 중국 시장에서 한류가 변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중국에서 드라마를 찍고 있는 한 제작사 대표는 “이명박(MB) 정권 당시 한일관계가 경색됐을 때 움츠러든 일본 내 한류가 지금도 전성기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한류를 정책 홍보에만 이용하려 하지 말고 한류 콘텐츠를 보호할 구체적 안전장치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양환 ray@donga.com·임희윤·이서현 기자
#중국#사드 보복#한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