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마철에는 비가 제법 왔다. 예보 적중률이 낮아 기상청은 곤욕을 치르는 모양이지만 어릴 때부터 비를 좋아했다. 청년 시절 끓는 피를 식히기 위해 일부러 비를 맞았던 적도 여러 번 있었다.
비가 오면 늘 떠오르는 곡이 있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7번 폭풍(템페스트). 특히 외줄을 타는 광대처럼 끊어질 듯한 위태로운 긴장감을 교묘히 타고 넘는 3악장의 선율은 편안한 호흡을 허락하지 않는다. 처음 이 곡을 접했을 때부터 쏟아지는 빗소리를 반주로 들어 볼 꿈을 간직해 왔다. 빗방울은 홀로 소리를 내지 못하니 무엇인가를 두들겨야 하는데 흙 마당도 좋고, 텐트도 좋고, 차 지붕도 좋겠지만 압권은 양철지붕이 아닐까 싶다. 꿩 대신 닭이라 폭우가 쏟아지는 밤, 차를 몰고 집을 나섰다.
잠깐 만에 지방도 옆 외지고 작은 공간에 차를 세웠다. 저 멀리 가로등이 보였다. 흔들리는 갓을 쓴 노랗고 붉은 백열등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감한 무채색도 아니다. 차 지붕을 두들기는 빗소리 크기에 맞추어 볼륨을 조절한다. 빗소리는 때때로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지만 결코 분위기를 깨는 법은 없다. 간간이 지나가는 자동차 전조등에 빗방울이 반짝인다. 빗방울 파편들의 군무는 한층 분위기를 돋운다. 전 악장이 끝나고 단 한 사람의 청중이 작은 손뼉을 치면 이 화려하고 짧은 17분 남짓한, 나만을 위한 콘서트는 막을 내린다. 앙코르는 없다. 지난달 6일 장면이다.
1990년대 말 잠깐 전남 여수에서 지낸 적이 있다. 집은 바다에서 150여 m 떨어진 언덕 위 아파트 10층, 동향이었다. 호수 같은 바다를 에워싼 산등성이 위로 보름달이 떠오를 때면 교교히 비치는 긴 달빛 조명에 와인 잔을 들었다.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를 즐기기 위해서였다. 다른 일들은 흔쾌히 포기했다.
지금 살고 있는 집 가까이에 오봉저수지가 있다. 농업용수용 저수지 치고는 제법 크고 주변에는 거의 가옥이 없는데 한 달에 두 번 정도 찾아간다. 보름께면 물에 비친 달을, 그믐께면 물에 비친 별을 찾아서 간다. 대도시에서 별을 보기 힘든 이유는 대기오염의 문제도 있지만 먼 별빛을 가까운 인공조명이 삼켜 버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다리 위에서 보는 젖은 달과 별이 참 예쁘다.
도시의 화려한 조명이 만들어 낸 야경과 격식을 갖춘 콘서트도 좋지만 이런 한가로운 야경과 소박한 콘서트도 그 나름으로 색다른 맛이 있다. 이번 주말에는 방초정 앞 감천으로 피라미를 잡으러 갈 생각이다. 여남은 마리만 잡혀도 튀겨 볼까 한다. 벌써 입에 침이 돈다.
※필자(54)는 서울에서 공무원, 외국 회사 임원으로 일하다 경북 김천으로 내려가 대한법률구조공단 본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