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호모부커스]정직한 책 제목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9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로버트 피츠로이는 찰스 다윈이 진화론을 발전시키는 디딤돌이 된, 5년에 걸친 남반구 탐사 항해에서 비글호의 함장이었다. 다윈과 피츠로이는 모두 저서를 남겼지만 피츠로이의 저서를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 잊힌 제목은 이렇다. ‘남아메리카 남부 해안 탐사와 비글호의 세계 주항을 포함한 영국 군함 어드벤처호와 비글호가 1826∼1836년 사이에 수행한 탐사 항해의 기록.’

서양에서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책 내용을 요약한 긴 제목들이 많았다. 다윈의 ‘종의 기원’도 1859년 처음 나올 때 ‘자연선택이라는 수단 또는 생존경쟁에서 유리한 종족의 보존에 의한 종의 기원에 관하여’였다. 오늘날 출판시장에서 제목(title)은 출간 시기(timing), 대상 독자(target)와 함께 책 판매 흥행의 ‘3T’ 요소 중 하나이지만 옛날에는 제목에 대체로 무심했다.

사마천의 ‘사기’는 글자 그대로 ‘역사기록’을 뜻하는데 처음엔 그냥 사마천의 벼슬에서 따온 ‘태사공서(太史公書)’, 즉 ‘태사공이 쓴 책’이었다. 선비들의 문집도 정도전의 ‘삼봉집’, 이황의 ‘퇴계집’처럼 그저 호(號)를 붙였다. 그렇다고 동양의 옛 책 제목들이 다 심심한 건 아니다.

1175년 중국 남송의 주희와 여조겸은 북송 시대 주요 유학자들의 글을 가려 뽑아 ‘근사록’을 편찬했다. ‘근사’는 ‘절실히 묻고 가까운 데부터 성찰한다(切問而近思)’는 ‘논어’ 문장에 나온다. 영역본 제목도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즉 ‘가까운 것에 대한 성찰’이다. 높고 멀고 깊은 것보다 가까운 일상을 중시하는 유교의 정신을 잘 대변한다.

미국 사상가 리 호이나키(1928∼2014)는 정년 보장 교수직을 버리고 농부가 되어 소비주의 사회에서 벗어난 삶을 실험했다. 그의 경험과 성찰을 담은 저서의 제목 ‘정의(正義)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Stumbling Toward Justice)’는 돌밭 길이라도 한 걸음 한 걸음 정의를 향해 걷겠다는 결의이자, 그런 길은 험난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들 두 책은 모두 책의 주제와 성격, 저자와 편찬자의 의도와 진심을 잘 표현했으며 제목의 뜻만으로도 울림이 크다. 책도 상품이기에 제목부터 독자의 눈길을 잡아끌어야 할 필요도 있겠지만 재치와 기발함이 지나치면 과장과 허위로 흐른다. 진실하고 정직한 제목을 알아보는 진실하고 정직한 독자들은 여전히 많다.
 
표정훈 출판평론가
#역사#역사기록#사마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