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뼈와 비파형동검이 함께 묻힌 기원전 6세기∼기원전 5세기 청동기시대 무덤이 처음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발굴조사 기관인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이 강원 평창군 하리 발굴현장에서 비파형동검과 인골(人骨)이 함께 묻힌 청동기시대 석관묘를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인골 또는 동검이 청동기시대 무덤에서 각각 발견된 적은 있지만, 함께 출토된 것은 처음이다. 고고학계는 인골과 비파형동검이 함께 나와 당시 장례 풍습 등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화재청과 발굴기관에 따르면 청동기시대 석관묘 14기가 확인됐으며, 이 중 인골이 나온 무덤은 길이가 204cm로 가장 크다. 또 당시 지배층의 전유물이던 비파형동검이 부장된 점으로 미뤄 인골은 이 지역 수장급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비파형동검은 길이 26.3cm, 폭 3.8cm로 두 동강이 난 채로 석관의 동쪽 측면 가운데 묻혀 있었다. 학계는 출토 동검의 양식이 비파형동검에서 세형동검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단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기원전 6세기∼기원전 5세기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변의 다른 석관묘에서 나온 토기와 석검, 관옥 등도 청동기시대 중기 유물로 분석됐다.
비파형동검 권위자인 이영문 목포대 교수(고고학)는 “동검 몸체 하부가 비파형동검 특유의 풍만한 곡선에서 벗어나 직선화된 데다 전체 길이도 30cm 미만으로 짧아진 점이 세형동검으로 넘어가는 과정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위, 아래로 부러진 비파형동검의 가운데 부분이 구부러진 게 주목된다. 학계는 동검을 일부러 부러뜨린 상태로 매납(埋納·특별한 목적으로 물건을 묻는 것)한 정황으로 보고 있다. 앞서 여수 적량동 고인돌 유적 등에서도 부장 당시 일부러 부러뜨린 비파형동검이 여럿 발견됐다. 이는 제사용 토기를 깨뜨려 부장하는 풍습처럼 선사시대 사람들의 종교관이 반영된 장례 풍습으로 보인다.
그러나 출토 당시 두 조각의 동검이 거의 떨어지지 않은 완벽한 형태에 가깝게 발견된 점을 감안할 때 토압(土壓)으로 인해 쪼개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통상 부러뜨린 뒤 매납한 동검 조각들은 서로 포개져 있거나,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학계는 무엇보다 인골의 보존 상태가 양호해 유전자(DNA)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 정보를 기대하고 있다. 인골에 남아 있는 콜라겐 성분을 통해 성별, 나이는 물론이고 식습관 등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굴 기관 관계자는 “현재 두개골을 비롯해 정강이뼈와 대퇴골 등이 발견됐는데 주변 토양이 알칼리성이라 보존 상태가 매우 좋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