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가 허공에 거미줄을 쳐 놓고 날아다니는 것들을 잡아먹으려고 기다렸다. 작은 놈으로는 모기, 파리에서부터 큰 놈으로는 매미, 제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대로 잡아먹어 배를 채우곤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벌 한 마리가 거미줄에 걸려들었다. 거미는 재빨리 거미줄로 벌을 칭칭 감다가 갑자기 땅에 떨어지더니 배가 터져 죽었다. 벌의 독침에 쏘여서 그렇게 된 것이었다. 어떤 아이가 거미줄에 감겨 벗어나지 못하는 벌을 보고는 손을 뻗어 풀어주려고 하다가 또 벌의 독침에 쏘였다. 아이는 화가 나서 벌을 발로 밟아 짓이겨버렸다.
조선 후기의 학자 윤기(尹/·1741∼1826) 선생의 ‘무명자집(無名子集)’에 실린 ‘잡설(雜說)’ 중 한 편입니다. 우화 형식의 작품이라 과학적 사실과 맞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의 우화가 그렇듯 인간세태를 절묘하게 그려내어 우리에게 깨우침을 주는 것이 목적입니다.
위의 이야기는 얼핏 보면 별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어쨌다는 거야? 거미, 벌, 아이가 죽고 죽이는 게 무슨 의미인데? 고민하는 독자를 위해 선생께서 거미, 벌, 아이가 놓친 부분을 하나하나 지적해 주십니다.
거미는 그저 자기의 재주로 모든 날아다니는 것들을 얽어맬 수 있다는 것만 믿었지 벌이 독침으로 자기를 쏠 수 있다는 것을 몰랐다(不知). 벌은 그저 독침만 쏘면 다 되는 줄 알아서, 자기를 해치는 자와 자기를 구해주는 자를 구별하지 못하고 닥치는 대로(不擇) 쏘아대는 바람에 자기를 구해주려던 자가 도리어 자기를 해치도록 만들었다.
아이는 거미가 그렇게 죽은 것만 다행으로 여기고 벌의 독침이 무섭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아서(不思) 벌을 곤경에서 벗어나도록 해 주려고 하다가 벌의 독침 또한 사람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을 미처 헤아리지 못하였다(不虞).
상대의 실력을 모르고, 상대의 선의를 구별 못 하고, 상대의 반응을 생각하지 않아서 우리는 종종 세상살이에서 낭패를 겪나 봅니다. 모르는 것도 분명 잘못입니다. 선생의 마무리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