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정보국(CIA) 문화 선전전의 핵심이었던 마이클 조셀슨(왼쪽)과 세계문화자유회의의 ‘간판’ 인 작곡가 니콜라스 나보코프와 그의 아내 마미클레르. 그린비 제공
솔직히 말하련다. 서점에서 우연히 이 책을 마주쳤다면? 아마 안 골랐으리라. 미안한 말이지만 겉모습이 좀 ‘구리다’. 너무 두껍기까지. 막상 읽어 보면 흥미롭단 말도 차마 못 하겠다. 냉전 시대에 미국 중앙정보국(CIA) 주도로 이뤄진 문화 선전전을 다뤘는데, 방대하고 디테일해서 문외한 입장에선 상당히 버겁다.
그런데 이 책은 왠지 쓰윽 빠져들게 만드는 힘을 지녔다. CIA의 첩보전을 관람하는 재미는 없지만, 이들이 얼마나 치밀하고 넓게 그물망을 짜 왔는지를 엿볼 수 있다. 음모론에나 나오던 얘기가 진짜 현실이었던 거다.
영국 독립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역사학자인 저자가 특히 주목한 인물은 마이클 조셀슨. 에스토니아 유대인 출신으로 미군이 된 그는, CIA에 합류한 뒤 서구의 문화 선전전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성장한다. 그가 주도해 만든 민간단체가 ‘세계문화자유회의’(1950∼67년)다. 세계 35개 지부(한국에도 있었다)를 둔 이 단체는 수많은 세미나 전시회 음악제를 개최했다.
놀라운 건 잭슨 폴록과 버트런드 러셀, 조지 오웰, 해나 아렌트, 아서 밀러 등 이름만 대면 알 만한 당대 지성들도 이 단체(혹은 CIA)와 직간접적으로 연을 맺었단 점이다. 그들이 이런 정황을 인지했건 아니건. CIA는 엄청난 금전과 막강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들을 입맛에 맞게 활용했다. 물론 그들이 ‘선전선동의 나팔수’는 아니었지만, CIA의 큰 그림 속에서 움직여졌다. 조셀슨과 그의 동료들은 그림자 속에서 이를 설계하고 지휘했다.
요즘 시국에 이런 얘기가 관심을 끌까. 21세기 한반도에선 더한 일도 벌어졌는데. 그나마 CIA는 그들 나름대로 정당성을 갖추고 주도면밀하기라도 했건만.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6-10-30 12:57:52
한국에 관련된 인물들도 밝히지 않고 그냥 믿어라하는 기자가 제정신인가 싶다.
2016-10-29 21:53:15
정양환 기자도 남쪽 나라 출신인가. 조금 더 나가면, 미국 CIA가 세계는 물론 한국 분단 사태의 주인공이고, 북개 파괴 공작의 주역이므로, 이 땅에서 CIA를 몰아내자고 쓰려는 모습이다. 한국과 다른 나라에만 國益이 있고 미국에는 국익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