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출판사 대표들과 출판 전문가에게 제목이 좋은 책 3권, 아쉬운 책 1권을 각각 꼽아 달라고 요청해 보도한 적이 있다. 좋은 제목으로 자사 책을 넣을 경우 1권으로 제한했다.
한 출판사 대표는 ‘고해성사’(?)에 가까운 답변을 보내왔다. 최근 3년간 출간한 자사 책을 모두 살펴봤지만 딱히 마음에 드는 게 없었다고 했다.
‘지난 3년간 제목 고민을 별로 하지 않은 듯합니다. 이번 기회에 다시 신발 끈을 묶어야겠습니다.’
타사 책 3권을 좋은 책으로 추천했다. 그리고 ‘반성의 차원’에서 아쉬운 책으로 자사의 ‘미국, 파티는 끝났다’를 넣었다. 무엇이 문제인지도 조목조목 썼다.
‘부정적인 것을 미국과 연결짓는 건 비록 사실이라 할지라도 독자가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차라리 원제(The Unwinding·풀림)를 음역해서 ‘언와인딩’이라고 했으면 호기심이라도 불러일으켰을 텐데요. 해외에서 대히트를 치고 상까지 받은 책을 제목 때문에 망쳤다는 자책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아비판’에까지 이른 이 장문의 이메일을 여러 번 읽었다.
또 다른 출판사 대표는 제목이 좋은 책만 5권을 답했다. 아쉬운 책을 한 권만 꼽아 달라고 거듭 요청했지만 돌아온 답은 이랬다.
“다들 얼마나 많이 고민하고 애쓰면서 책을 만드는데요. 그걸 너무 잘 알기에 마음이 아파서 아쉬운 책을 못 꼽겠어요. 이해해 주세요.”
온갖 읍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서 답을 얻는 데는 결국 실패했다. 당초 설문을 시작할 때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반응을 보며 책을 만드는 이의 애틋한 마음이 느껴졌다.
출판인들이 책에 대해 말할 때의 눈빛과 표정은 자식에 대해 말하는 그것과 무척 닮았다. 책을 칭찬하면 자식이 큰 상이라도 받은 양 기뻐하고, 부족한 점을 조심스럽게 말하면 진지하게 듣는 한편 가슴 아파하는 게 전해져 온다.
비단 출판인만이 아니다. 연극, 뮤지컬, 무용 등 공연계를 취재하면서도 같은 느낌을 받았다. 이들에게 책, 공연은 자식 같았다. 어마어마하게 큰돈이 생기거나 천하의 명예를 거머쥐는 일이 아님에도 그들은 그저 좋아서 이 일을 한다. 누가 보든 보지 않든 혼신의 힘을 다해.
최순실 씨가 놀이터처럼 헤집고 다녔던 문화계는 그런 곳이다. 최 씨가 금융, 보건복지처럼 예산 규모가 큰 분야는 전문적이고 복잡해 건드리지 못했다는 말도 나온다(사실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겠지만).
문화계가 돌아가는 방식은 정교하거나 난해하지 않을지 몰라도 그곳에 종사하는 이들은 누구보다 정성을 기울이며 일하고 있다. 전국을 뒤흔들고 있는 이 소용돌이는 언젠가는 지나갈 것이다. 하지만 자기 자리에서 묵묵히 노력하며 의미를 찾아가는 문화계 종사자들은 변함없이 존재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