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호모부커스]장서인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표정훈 출판평론가
표정훈 출판평론가
 장서인(藏書印)은 책이나 그림, 글씨의 소장자가 자기의 소유임을 나타내기 위해 찍은 도장이다. 국문학자 도남 조윤제가 말한다. ‘소장자의 소유를 명시하기 위해 찍어두는 것이지만 장서가는 실용을 넘어 도락을 구하고자 한다. 어떤 호사가는 장서인에 자기 가계를 표시하기도 하고 혹은 자자손손 영세토록 귀하게 간직하라(子子孫孫永世寶藏)는 간절한 부탁까지 한다.’(동아일보 1936년 4월 24일)

 일반적으로는 ‘누구누구의 장서’ 하는 식으로 간단하게 새기지만 천양간고본(天壤間孤本), 즉 ‘하늘과 땅 사이에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본’이라거나 불출문달엄금대매(不出門달嚴禁貸賣), 즉 ‘문 바깥으로 반출하지 말 것이며 빌려주거나 파는 것을 엄금한다’는 내용을 새기는 경우도 있었다. 책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마음껏 드러내며 그 나름의 개성을 표현한 문구들도 많았던 것.

 1101년 고려 숙종이 책을 보고 장서인을 찍었다는 기록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관련 기록이다. 병자호란 때 항전을 주장하다 청나라로 끌려간 김상헌(1570∼1652)은 ‘군옥소기(群玉所記)’에서 자신의 장서인의 아름다움을 묘사했다. ‘그윽한 자태가 이슬을 머금으니, 아름다운 여인이 울며 이별하다 떨어뜨린 눈물이 구슬로 맺힌 듯.’

 장서가 한 사람이 장서인 여러 개를 사용하기도 했다. 월탄 박종화는 크고 작은 장서인 9개를 사용했다. 역사학자 동빈 김상기는 양각과 음각 장서인 10여 가지를 서재에 비치했다. 장서인은 개인뿐 아니라 도서관에서도 찍었다. 도서관 소장 도서에 주로 전서체(篆書體) 한자로 새긴 큼지막한 장서인이 찍혀 있는 것을 지금도 볼 수 있다.

 책 소장자의 장서인이 아니라 저자의 인장이 찍힌 경우로, 판매 부수를 확인하고 인세를 정산하기 위한 인지(印紙)가 있었다. 인지를 붙이지 않은 책이 나돌거나, 인장을 위조해 저자와 출판사가 법정 다툼을 하는 일도 있었다. 저작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저자와의 협의에 따라 인지는 생략합니다’ 같은 문구가 찍히다 2000년대 이후 빠르게 사라졌다.

 장서인을 소유욕과 과시욕의 산물로 볼 수도 있겠으나 그 욕망의 대상이 책이니 한껏 부려 봐도 좋은 욕심이다. 같은 책이 수십만 부 있더라도 그중 내가 가진 책은 다르다는 것. 장서인을 찍는 행위는 책이 하나의 상품에서 나만의 의미로 바뀌었음을 확인하는 즐거운 의식(儀式), 그러나 거의 사라진 책 문화다.
 
표정훈 출판평론가
#장서인#숙종#박종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