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우리의 '국민 술' 막걸리. 군, 읍 단위로 2,3개 전국적으로 3000여 종류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민족문화 말살 정책을 시작으로 해방 이후 쌀 이용한 양조 금지, 저질 탁주 범람, 각종 규제 등으로 막걸리는 크게 성장하지 못했습니다.
#3. 2000년대 중반, '한류' 등으로 막걸리는 재도약의 기회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반짝 인기에 그쳤죠. 2008년 전후로 막걸리의 인기가 하향 곡선을 그렸습니다. 미래가 불확실해졌습니다.
#4. 매출이 떨어지자 그나마 전통 방식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던 술도가들도 '일본 누룩'인 입국(粒麴)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막걸리는 소주 맥주보다도 싸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고, 아무리 잘 만들어도 가격을 소주 맥주 보다 높게 설정하면 팔리지 않았기 때문이죠.
#5. 생산 원가를 낮춰야 하는 막걸리 술도가들은 경제성이 뛰어난 입국을 사용합니다. 입국은 토종 누룩에 비해 가격이 싸고 막걸리 제조 기간을 앞당길 수도 있어서죠. 또 술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6. 반면 토종 누룩은 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막걸리를 제조하는 과정도 까다롭죠. 제조 과정에서 자칫 실수하면 술맛이 달라집니다. 대량생산을 해야 하는 술도가 입장에선 입국을 선호할 수밖에 없었죠. 그러나 이 때문에 토종 누룩으로 천차만별의 맛, 향을 내던 막걸리는 '획일적인 맛'에 머물게 됐습니다. #7.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종 누룩의 술도가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금정산성막걸리와 송명섭 막걸리, 경남 산청 할머니들이 담는 밀주…. 16세기부터 이어온 금정산성막걸리는 1960년대 쌀 부족으로 누룩 제조가 금지됐을 때 땅굴을 파 누룩을 숨기며 '전통'을 이어왔습니다. 직장에 다니던 유청길 금정산성막걸리 사장은 1990년대 말 '전통'을 잇기 위해 막걸리의 길을 선택했습니다.
#8. 토종 누룩으로 만든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습니다. 금정산성막걸리는 시간이 갈수록 요구르트화가 되고 나중엔 식초가 됩니다. 국내에서 식초가 되는 막걸리는 드뭅니다. 유산균이 많은 막걸리와 소주를 동물의 위에 한 달 동안 보관하는 실험을 했는데 막걸리를 담은 위는 위벽이 두꺼워졌고 소주를 담은 위는 위벽이 헐었다는 결과도 있었죠.
#9. "누룩은 귀신이다. 누룩은 그 집안과 함께 산다. 그런데 누룩이 없어지다니... 대한민국 사람들은 우리나라 귀신을 마셔야 한다. 그런데 지금은 일본귀신을 마시고 있다. 입국만 계속 쓰면 한국 전통 막걸리는 다 사라진다." -토종 막걸리의 우수성을 알리는 다큐멘터리 제작자 이창주 감독-
#10.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 막걸 리가 단순히 '싼 술'이 아니라 다양한 맛과 향의 '국민 술'이 될 수 있도록 전통 막걸리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더욱 필요한 때입니다. 원본 | 양종구 기자 기획·제작 | 이유종 기자 · 김유정 인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