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석의 시간여행]헌법재판소 자리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3월 13일 03시 00분


재동 백송의 1930년대 모습(동아일보 1933년 7월 23일자)과 현재모습(헌법재판소 경내).
재동 백송의 1930년대 모습(동아일보 1933년 7월 23일자)과 현재모습(헌법재판소 경내).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뒤뜰에 오래된 소나무 한 그루가 있다. 백송이라는 그 이름처럼 하얀 줄기의 이 천연기념물은 나이가 수백 살이라 한다. 여러 세기에 걸쳐 이 나무가 굽어보는 주위에 많은 집과 사람이 명멸했다. 헌법재판소가 창설되어 이곳 재동에 청사를 짓고 입주하기까지 근 80년간 여자고등학교들과 그 부속시설이 거쳐 갔다. 그 전에 조선 말기에는 근대적 국립병원의 효시라 할 제중원이 터 잡은 곳이다. 광혜원으로 출발한 그 제중원의 고래 등 같은 기와집은 홍영식 일가의 저택이었다.

홍영식은 근대적 우편행정 부처로 신설된 우정국의 수장으로 그 개국 축하연에서 갑신정변을 일으킨 주모자의 일원이다. 친일 개화파가 친중 사대당을 제거하고 세운 신정부는 중국 주둔군의 진압으로 3일 만에 무너졌다. 거사 지도부가 일본으로 도주하는 동안 홍영식은 국왕과 함께 창덕궁 뒷산으로 피신했다가 피살되었다. 가지 말라 옷깃을 붙잡는 홍영식의 손길을 뿌리치고 임금은 대궐 앞 중국군의 진중으로 들어갔다.

‘다행히 중국의 주둔병이 상감을 보호하였습니다. 죽은 죄인 홍영식에게 속히 노륙(노戮)의 법을 행하소서.’(승정원일기 1884년 10월 23일자)

중국군 막사에서 며칠을 묵고 대궐로 귀환한 왕에게 상소라는 이름의 여론몰이가 쇄도했다. 노륙이란 아내와 아들을 연좌제로 엮어 함께 처형하는 벌이다. 영의정까지 올랐던 아버지는 관직이 박탈되고 자결했다. 홍영식의 처와 어린 외아들도 그 뒤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 재산은 압류되었다. 주인 잃은 집 한 채만 덩그러니 남았다. 역적의 집은 허물고 그 땅은 연못을 파는 게 법도이지만 그 집은 신설되는 서양식 병원의 터전이 되었다. 개원 준비를 위해 미국 의사 겸 선교사인 알렌이 폐가로 변한 홍씨 가문의 집을 찾은 것은 갑신정변으로부터 석 달이 지난 뒤였다.

‘방바닥은 유혈이 낭자하여 홍영식의 가족들이 이곳에서 살해되었음을 입증한다. 집은 철저히 약탈된 상태였다. 문짝과 창문, 화로와 서책, 벽에 걸린 물건들까지 노략질해갔다.’(알렌의 일기 1885년 3월 1일자)

그보다 몇 배 더 큰 유혈극이 그로부터 400여 년 전 이 동네 재동에서 또 있었다. 1453년의 계유정난. 13세의 현역 국왕을 폐위시키고 권력을 찬탈하기 위해 수양대군과 그 수하가 벌인 대학살극이었다. 단종을 보필하던 중신들을 참살하여 그 흘린 피가 내를 이루고 피비린내가 등천했다고 전한다. 마을 사람들이 집집마다 재를 긁어 나와 유혈낭자한 길바닥을 덮었다는 뜻에서 잿골, 즉 재동이 되었다는 말이 동네 이름의 유래로 전해온다.

‘흰 몸을 버티고 선 이 백송의 고향은 중국입니다. 세상은 바뀌어서 정승판서가 거닐던 그 소나무 밑에는 지금 검은 옷 입은 여학생들이 찾아들어 책을 읽는답니다.’(동아일보 1924년 7월 1일자) 잿빛과 핏빛 날들을 목격한 생존자로서 재동 백송은 정권도 정변도 소멸한 망국의 시절을 거쳐 오늘을 굽어본다.
 
박윤석 역사칼럼니스트·‘경성 모던타임스’ 저자
#종로구 재동 백송#헌법재판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