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라노 여지원 씨는 힘들고 좌절했던 시간들을 ‘즐거웠던 시간’으로 기억했다. “음악적으로 어려움에 부딪힐 때마다 늘 저를 시험대에 올리고, 고치고, 바꿨어요. 그래서 늘 재미있었죠.” 경기도문화의전당 제공
“제가 잘하지 못해서….”
겸손이 몸에 밴 소프라노 여지원(37)은 그래서 더 노력해 세계 최고의 무대에 올랐다. 그는 한국에서는 무명에 가깝지만 해외에서는 다르다.
2015년 최고의 음악축제 중 하나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세계적인 거장 리카르도 무티가 지휘하는 오페라 ‘에르나니’에서 주역을 맡았다. 올해 8월 잘츠부르크에서 무티가 지휘하는 오페라 ‘아이다’에서도 여주인공을 맡았다. 세계 최정상 소프라노로 불리는 안나 네트렙코와 더블 캐스팅이다.
3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여지원은 “세계 최고의 소프라노가 어떻게 노래하고, 연습하고, 역할에 집중하는지 바로 눈앞에서 볼 수 있어서 좋다. 다만 네트렙코와 비교하지 않으려고 한다. 서로 갖고 있는 장점이 다르다”고 말했다.
무티와 함께 그는 6, 7일 수원 경기도문화의전당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연주로 ‘무티 베르디 콘서트’ 무대에 오른다. 깐깐한 무티와 함께 수차례 무대를 가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는 “2013년 한 페스티벌에서 저를 처음 봤다는 무티가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오디션을 제안해 와 놀랐다”라고 했다. 동양인이 아니라 이탈리아 사람처럼 노래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는 게 무티의 촌평이었다.
서른 중반에 뒤늦게 빛을 발하기 시작한 그의 성공 비결은 평범함과 노력이었다. 그는 어렸을 적부터 노래 부르기를 좋아했다. 다만 합창단에 들어갈 정도의 실력은 아니었다. 그는 “고등학교 때 한 친구가 노래를 너무 잘해 비결을 물어보니 성악을 한다고 했다. 나도 성악을 하면 노래를 잘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2학년 때부터 성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서경대 성악과에 진학한 그는 그곳에서도 노래를 잘해 눈에 띄는 학생은 아니었다. 단, 열심히 했고 노래는 여전히 좋아했다. 졸업 뒤 무대에 더 서고 싶은 마음에 이탈리아 유학을 결심했다. 그가 유학을 간다니 실력을 잘 아는 교수나 주위에서 ‘꼭 노래가 아니어도 되니 견문이라도 넓히고 오라’는 반응이 많았다고 한다.
2005년 3년 기한으로 이탈리아로 떠났다. 길지 않은 시간이었기에 악착같이 매달렸다. 부족한 점이 있으면 잘하는 선생님을 찾아다니며 조언을 구했다. 어떤 역할이 어울리는지, 어떻게 노래를 불러야 하는지 잘 몰랐지만 서서히 자신만의 목소리와 역할을 찾게 됐다.
이후 이탈리아 무대에 정착한 그의 성공에는 타고난 낙천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말 잘해 온 사람들은 벽에 부딪히면 금방 지쳐요. 그런 사람들은 콩쿠르에서 떨어지면 며칠 시름에 잠기고 힘들어 해요. 하지만 저는 ‘나는 ‘왜 안 됐지?’ ‘무엇을 더 해야지?’ 하며 해결책을 찾아 나섰어요.”
3년 만에 찾은 한국에서 친구들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있다. “못하더라도 노력해 성공하는 너 같은 아이도 있구나. 네가 우리의 희망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