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이불처럼 덮고 화장(化粧)도 해탈(解脫)도 없이 이불 여미듯 바람을 여미고 마지막으로 몸의 피가 다 마를 때까지 바람과 놀게 해 다오.’ -황동규 시인의 ‘풍장1’ 중 일부
유명한 청춘의 시 ‘즐거운 편지’는 황동규 시인 자신이 청춘이었을 때 쓰여 그토록 설레고 풋풋하리라고 가늠하게 되지만, ‘풍장(風葬)’ 연작은 그의 나이 40대에 쓰기 시작했다.
‘내 세상 뜨면 풍장 시켜 다오/ 섭섭하지 않게/ 옷은 입은 채로 전자시계는 가는 채로/ 손목에 달아놓고…’로 시작되는 이 시에서, 세속과 타협하며 살아가는 데 유순해졌을 법한 40대를 읽기란 쉽지 않다. 시의 화자는 그만큼 죽음에 대해 초연하다.
‘풍장’은 유해를 땅에 묻지 않고 산이나 들에 놓아두어 자연 부패하도록 하는 장례법이다. 목숨이 다한 육신에 아무런 더함 없이 자연에 두겠다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합일(合一)을 의미한다.
‘선유도 지나 무인도 지나 통통 소리 지나/ 배가 육지에 허리 대는 기척에’ 화자는 몸 누일 곳에 이르렀음을 깨닫는다. 죽은 뒤 살도 피도 말라가겠지만, 그때껏 ‘이불 여미듯 바람을 여미고 (…) 바람과 놀게 해 다오.’ 이 부분은 ‘죽음’도 ‘놀음’으로 승화하는 시인의 명랑함이 빛나는 대목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