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일본 교토(京都) 시 히가시야마(東山) 구의 옛 대불사 터(대불전). 정유재란의 주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신으로 받들어 모시는 도요쿠니 신사(豊國神社)가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서쪽으로 100m쯤 걸어가다보니 대로변에 경주의 중형급 규모 고분과 비슷한 크기의 무덤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무덤 위에는 돌로 된 석탑(오륜탑)이 있는데 마치 무덤을 짓누르고 있는 듯한 분위기다. 무덤 앞 입간판에는 ‘이총(耳塚·귀무덤)’이라는 제목 아래 ‘조선 군민 남녀의 코나 귀를 베어 소금에 절여서 일본에 가지고 들어왔다’고 써있다. 세계 전쟁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왜군의 ‘코베기’ 만행을 증언하는 현장이다.
“사람이 귀는 둘이 있고 코는 하나뿐이니 코를 베어 한 사람 죽인 것을 표시하여 바치고, 각기 코를 한 되씩 채운 뒤에야 생포하는 것을 허락한다.”(‘난중잡록’, ‘간양록’)
1597년 2월 조선 재침을 명령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그해 6월 15일 내린 지시다. 임진왜란부터 이어지는 지루하고도 성과 없는 전쟁에 대한 반전(反戰) 분위기, 교토 일대를 재로 만든 대지진으로 인한 민심 이반 등으로 히데요시는 곤경에 몰려 있던 터였다. 이번 재침에서 확실한 성과를 보여줘야 정권의 안위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판단한 히데요시는 왜군들이 조선군과 적극적으로 싸우도록 내몰기 위해 극단적인 살육을 강요했다. 사실 왜병들은 2월 조선에 재출병한 이후 7월 칠천량 해전이 벌어지기 전까지 6개월간 이렇다할 전투 없이 조선 민간인들을 납치해 노동력을 착취하거나 노예로 파는 등 ‘사람 장사’에 열을 올리고 있던 상황이었다.
히데요시의 지시로 그해 7월 칠천량 해전 이후부터 시작한 조선인 코베기는 매우 조직적으로 진행됐다. 조선인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해 악명이 높았던 가토 기요마사는 이렇게 기록했다.
“일본인 한 사람당 조선인의 코가 세 개씩 할당됐다. 그 코를 고려(조선)에서 검사관이 검사한 뒤에 큰 통에 넣어 소금에 절여서 일본에 보냈다.”(‘淸正高麗陣覺書’)
히데요시가 파견한 검사관은 소금에 절인 코의 숫자를 확인한 뒤 코를 베어온 부대장에게 청취장(請取狀)을 써줬다. 일종의 영수증이었다. 이 청취장은 후에 일본에서 포상으로 영지를 받거나, 조선 땅에서의 기득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중요한 근거였다. 왜군 장수들은 청취장을 소중하게 보관했고, 가문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기도 했다.
코는 큰 통에 담겨 히데요시에게 바로 보내졌다. 코를 보내온 장수에게 히데요시는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히데요시는 본보기로 남원성 전투(8월 13∼16일)에서 승리한 장수들에게 일일이 ‘노고’를 치하하는 주인장(朱印狀·히데요시가 사인한 공문서)을 보냈다.
‘8월 16일 보낸 보고서를 보았소. 남원성을 명나라 군대가 수비하고 있었는데, 13일 그 성을 포위해 15일 밤에 함락시켜 목 421개를 베어 그 코가 도착하였소. 수고했소. 앞으로 부대장들이 상의하여 잘 작전하시오. 풍신수길.’(1597년 9월13일 히데요시가 남원성 전투에서 공을 세운 시마즈 요시히로에게 보낸 문서)
히데요시의 주인장과 출전 왜군 장수들의 가문에서 보관한 기록 등에 의하면 남원성에서 자행된 코베기는 확인된 것만도 1596건에 달한다. 이는 예닐곱 명의 왜군 장수 가문에 남겨진 기록만 합쳐 계산한 것이다. 실제로 남원성 전투에 참가한 왜군 장수들이 모두 20여 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그 숫자는 크게 늘어난다.
여성과 아이 코 가리지 않아
왜군 장수들 사이엔 코베기 실적 경쟁까지 벌어졌다. 왜군들은 전공을 부풀리기 위해 전사자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민간인들의 코까지 잘라갔다. 가져간 코가 병사의 것인지 민간인의 것인지 구별되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한 행위였다.
왜군의 코베기 현장을 직접 목격한 ‘난중잡록’의 저자 조경남은 “(조선)사람만 보면 죽이든 안 죽이든 코를 베었으므로 그 뒤 수십 년간 본국(조선)의 길에서는 코 없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 심지어 왜군들은 여성과 아이들의 코도 가리지 않고 베어갔다(‘秀吉の朝鮮侵略と歷史的告發’).
왜군들은 성인의 경우 죽인 후에 코를 베었지만, 어린아이들은 살려둔 채 코를 베어가기도 했다. 정유재란을 겪은 실학자 이수광은 “이때부터 우리나라 사람들 가운데 코는 베어 없어도 목숨은 건져 코 없이 사는 사람들이 많았다”(‘지봉유설’)고 썼다.
이처럼 눈뜨고 볼 수 없는 참극이 벌어지고 있는데도, 조선 조정은 왜군이 전라도를 장악한 그해 8월부터 두 달이 넘도록 호남의 상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고을 수령들이 대부분 달아나 관아는 텅 비었고, 파발과 봉화 등 통신망이 완전히 두절된 상태였다.
왜군의 코베기는 전라도와 경상도를 비롯해 충청도까지 확대됐다. 8월 25일 전주성에 무혈 입성한 일본군은 좌·우군의 장수들이 전부 모여 작전회의를 열었다. 좌군은 남하해 전라도 전역을 완전 점령하는 것을 주 임무로 맡았고, 우군은 충청도 공주로 곧장 올라간 뒤 천안과 청주를 거쳐 계속 경기도까지 북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좌군 중 시마즈 요시히로의 군 일부는 충청도 서로(西路)인 부여까지 진격한 뒤 다시 전라 좌로(左路)를 따라 남하했는데 그 과정에서 충청도 사람들을 도륙했다. 9월 7일 서천의 성과 그 주변 마을을 모조리 불태워버렸고, 그 이튿날인 8일에는 충청도 한산 부근에서 조선인 코 250개를 베었다(‘面高連長坊高麗日記’).
한편 청주와 천안을 거치면서 거칠 것 없이 북상하던 일본군 우군은 9월 7일 직산 부근에서 남하하는 명나라 군대와 맞부딪쳤다. 한양을 200여 리쯤 남겨놓은 지점에서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 쌍방간 적잖은 피해를 입었다. 명군의 주력부대는 일단 수원으로 후퇴했다.
왜군 역시 더 이상의 북진을 포기하고 경상도 방면으로 남하했다. 히데요시의 전략 목표가 전라도를 장악하는 데 있었으므로, 왜군은 충청도에서 불필요한 희생을 치를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게다가 머잖아 겨울이 닥쳐올 시점이었다. 왜군은 임진왜란 때 혹한의 겨울 날씨로 추위와 굶주림에 떨었던 공포심을 가지고 있었다.
충청도에서 경상도로 남하하던 우군 중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부대는 청주 부근에서 선조 임금의 매부와 그의 딸을 생포하기도 했다. 가토는 포로로 잡은 조선 백성 중 손기술이 있는 여성 세공사와 양가의 아이, 젊은 여성 등을 히데요시에게 진상하겠다는 편지를 작성했다(가토 기요마사의 1597년 10월 10일자 서신). 이렇게 경기도 이북을 제외한 전라, 경상, 충청 3도가 왜군의 분탕질로 만신창이가 됐다.
“적은 3도를 유린했으며 천리에 걸쳐 창을 휘두르고 불을 질러 적이 지나간 자리는 거의 초토화됐다. 우리나라 사람들을 잡으면 그 코를 모두 베어 위세를 과시했다.”(‘징비록’)
이때 왜군이 얼마나 많은 코를 베어갔는지 정확한 집계는 없다. 다만 일본측 기록인 ‘조선물어(朝鮮物語)’에서는 정유재란 당시 조선 사람 코 18만5738개, 명군 코 2만9014개 등 모두 21만4752개의 코가 일본으로 보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코무덤을 귀무덤으로 둔갑시킨 일본인들
히데요시는 조선에서 보내온 코를 담은 통들을 마차에 싣고서 자신의 정치 근거지인 오사카와 교토 등지를 돌면서 일본인들에게 구경시켰다. 자신의 무위(武威)가 얼마나 위대한지를 각인시키려는 정치선전이었다. 그런 다음 1597년 9월 28일 대불전 서쪽에 코를 묻은 뒤 봉분을 조성하고 봉분 위에 오륜탑을 세웠다. 그러고는 교토5산의 승려 400명을 불러 공양하도록 했다. 코가 잘린 희생자들의 원혼을 달랜다는 명목이었으나 속내는 자신의 위엄을 높이고 전공을 후세에 전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정유재란때 포로로 붙잡혀간 학자이자 관리였던 강항은 “수길(히데요시)은 소금에 절인 채 보내진 코를 살펴본 뒤에 모아서 북쪽 들판 10리쯤에 있는 대불사의 곁에 묻었는데, 높이가 하나의 언덕을 이루었다 한다. 혈육의 참화는 이를 들어서 가히 알 수 있다”고 기록했다.(‘간양록’)
히데요시가 코무덤을 만든 뒤에도 조선에서는 지속적으로 베어진 코들이 도착했다. 왜군 장수들이 일본 전역에서 차출됐으므로 코무덤 역시 일본 곳곳에 산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학자들이 대마도, 비젠, 후쿠오카 등지에서 코무덤으로 추정되는 이총들을 하나둘씩 찾아내고 있으나, 아직도 그 실체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한국 정부와 학계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공동조사와 코무덤 복구를 일본에 요구해야 하는 시점이다.
히데요시 사후 일본인들은 코무덤 즉, 비총(鼻塚)을 귀무덤으로 둔갑시켰다. 코보다는 귀를 베어간 것으로 하는 게 후대에 상대적으로 덜 잔혹하게 보인다고 생각했을까. 조작의 주역은 에도 막부 시대(1603∼1868)의 유학자 하야시 라잔(林羅山)이었다. 라잔은 1642년 발간한 저서에서 “일본군 장수들이 관례적으로 군공(軍功)을 증명하기 위해 코 약간과 귀 약간을 보냈다고 한다. 히데요시는 이것을 대불전 근처에 묻어주고 이총이라고 불렀다고 한다”(‘풍臣秀吉譜’)고 기록했다. 출처불명의 말을 근거로 비총을 이총으로 둔갑시킨 것이다.
조선인 코무덤과 조선통신사 연구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낸 일본인 나카오 히로시 교수(조선통신사유네스코기록유산 일본학술위원회 위원장)는 1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총이 아닌 비총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대불전 앞의 무덤은 일본과 한국의 여러 문헌 자료를 살펴보면 비총임이 분명히 나타난다. 일본에서는 하야시 라잔의 책을 근거로 삼아 조선인 코무덤을 이비총(耳鼻塚)으로 부르다가, 라잔의 제자(黑川道佑)가 스승보다 40년 후 출판한 서책에서는 이비총을 삭제한 뒤 이총이라고 기록했고, 이후 이총으로 불리게 됐다. 이는 교토의 지지(地誌)에 분명히 수록돼 있다.”
역사적 사실을 교묘히 윤색하는 일본의 행태는 에도시대에도 별다를 바 없었던 것 같다. 그나마 2003년에 들어 교토 시가 이총이라는 단어 옆에 괄호로 비총이라고 병기한 게 진일보한 것이라고 할까.
히데요시는 1598년 8월 죽은 뒤 코무덤을 바로 아래로 굽어다보는 대불전 옆에 묻혔고, 지극히 화려하고 웅장한 황금전(黃金殿)을 지었다.(‘간양록’) 일본 승려 남화(南化)가 ‘크게 밝은 일본이여 한 세상 호기 떨쳐라(大明日本 振一世豪)/ 태평의 길 열어 놓아 바다 넓고 산 높도다(開太平路 海활山高)’라는 추모 글을 황금전 문에 새겼다. 이를 본 강항은 그 글씨 옆에다 히데요시의 부질없는 허영과 무모한 조선침략을 비꼬는 시를 먹으로 썼다.
‘반 세상의 경영이 남은 것은 한줌 흙뿐이고(半世經營土一배)/십층의 황금전은 부질없이 높다랗네(十層金殿만崔嵬)/ 조그마한 땅이 또한 다른 손에 떨어졌는데(彈丸亦落他人手)/무슨 일로 청구(조선)에 흙먼지를 날리며 온단 말인가(何事靑丘捲土來).’
이후 대불전은 1868년 메이지 정부때 도요쿠니 신사로 재건됐다. 히데요시가 죽은 지 300년 되던 해인 1898년 메이지 정부는 코무덤을 대대적으로 개수하고, 예능인들을 동원해 히데요시의 업적을 기리는 가부키를 만들어 공연을 전국적으로 펼쳤다.
기자는 코무덤을 향해 묵념을 올린 뒤 오사카로 발걸음을 옮겼다. 그때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졌다. 코무덤의 조선인 원혼들이 흘리는 눈물인 듯 가슴속까지 저려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