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유교 문화가 지배한 조선시대의 아버지라고 하면 근엄한 이미지가 쉽게 떠오른다. 하지만 최근 박동욱 한양대 교수가 쓴 책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휴머니스트)에는 다소 낯선 옛 아버지들의 글이 소개돼 있다.
“집에서는 중처럼 지내야 하고 마을에선 아낙처럼 처신하여라.”
조선 후기 실학자 안정복(1712∼1791)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다. 조심스러운 처신을 당부하는 전형적인 조선시대 아버지의 모습이다. 그러나 아들이 병으로 자신보다 일찍 죽자 “잊어버리고자 하여도 잊어버릴 수 없는 것은 너의 효순한 행실, 아름다운 자태인데 다시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구나”라며 애절할 부정(父情)을 담은 글을 남겼다. 좌의정과 우의정을 모두 지낼 정도로 승승장구했던 채제공(1720∼1799)은 50이 넘은 나이에 아들을 얻었다. 그는 “네 살이라 말하기 힘들 정도로 총명함이 너무 사랑스럽다”라며 다소 팔불출 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아버지의 사랑은 겉은 다르지만 속은 대개 비슷하다. 시대를 넘어 모든 아버지에게 존경과 경의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