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캐나다 토론토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기 초 생후 2∼4개월 아기와 엄마가 매달 세 번씩 40분 동안 한 학급을 방문하는 이색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놀랍게도 거친 성격의 아이들은 웃고, 산만한 아이들은 집중하며, 수줍음을 타는 아이들은 마음을 열었다. 학생들은 방문한 엄마와 아기의 기분에 공감하고자 했던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사례에서 관찰되는 인류 본연의 인간성을 남녀 구분 없이 지녀야 할 ‘보살핌의 윤리’라고 소개한다.
여성의 도덕발달과 의사결정을 연구해 심리학계에서 ‘혁명적 연구자’란 평가를 받아 온 저자가 민주주의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남녀 모두의 ‘담대한 목소리’를 강조한다. 이전 저서에서 기존 심리학 이론들이 여성의 심리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던 저자는 이 책에서 ‘보살핌의 윤리’가 사회화된 소년들 사이에서 어떻게 소멸해가며, 소녀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기만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게 되는지 소개한다. 저자에 따르면 ‘인간성이 남성성과 여성성으로 나뉘는 한 우리는 서로로부터 그리고 우리 자신으로부터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