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1920년 4월 4일밤 연해주 한인지역 습격 ‘광란의 학살극’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1일 03시 00분


[2019 3·1운동 임정 100년, 2020 동아일보 창간 100년]
“학교에 300명 가두고 불태워” 신한촌 무자비한 인명 살상
노인동맹단 간부들 체포-피신
우수리스크서도 총살 등 탄압

1920년 ‘4월 참변’을 일으킨 연해주 주둔 일본군들. 수많은 한인 독립운동가가 비참하게 학살당했다.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에서 촬영한 사진.
1920년 ‘4월 참변’을 일으킨 연해주 주둔 일본군들. 수많은 한인 독립운동가가 비참하게 학살당했다.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에서 촬영한 사진.
1920년 4월 4일 밤, 연해주에 주둔 중이던 일본군이 기습적으로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과 우수리스크 스파스크 등 한인 거주 지역을 습격해 가옥 등을 불태우거나 파괴하고 다수의 한인을 살상하는 일이 벌어졌다. 일본군이 2, 3일에 걸쳐 광란의 살상극을 부른 ‘4월 참변’이다. 노인동맹단의 주요 간부들이 이때 체포당하거나 중국 등지로 피신하는 바람에 조직은 거의 와해된다.

러시아 지역 독립운동사를 연구해 온 박환 수원대 교수는 “일본 기록에는 일본군이 한인 60명을 체포했다고 하는데, ‘소련한족사’(김승화 저)에 따르면 당시 300명이 넘는 한인들이 체포됐고, 일본군은 그들을 학교에 가둔 채 건물을 불태워 죽였다”고 밝혔다.

4월 참변은 한 달 전인 3월 러시아 적군(볼셰비키 혁명군)이 일본 수비대와 일본인 거류지를 공격한 데 대한 보복적 성격이 강했다. 한인들이 대상에 포함된 것은 일본에 적대적인 러시아 적군에게 우호적이었기 때문이다. 또 한인 독립운동가들이 만세운동 이후 러시아 군대로부터 신형 무기를 구입해 무장한 뒤 국내로 진출하려는 항일 움직임도 보였기 때문이다.

일제는 이 과정에서 무자비했다. 신한촌의 기록은 일본군 만행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체포한 조선인들을 집단으로 묶어서 조선인 신문의 편집국에 끌어놓고는 사방에서 불을 질렀다. 어느 누구도 접근하지 못하게 했다. 불에 타고 있는 사람들의 무서운 외침 소리가 들려왔다. 얼마나 많은 조선인들이 거기서 죽었는지 밝혀지지 못했다.”(이정은, ‘3·1운동을 전후한 연해주 한인사회의 독립운동’)

우수리스크에서도 일본군은 70여 명의 한인 독립운동가를 체포했다. 이때 최재형을 비롯해 김이직, 엄주필, 황경섭 등이 일본군에 끌려가 총살당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혁명 정부기관이 불태워지고, 많은 러시아인들이 학살당했다. 우수리스크 교외엔 당시 상황을 보여주는 4월 참변 추모비가 서 있다. 당시 희생된 240명의 러시아인과 한인들을 추도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매년 4월 5일 러시아 지방정부가 추모비와 ‘영원의 불꽃 추모광장’에서 추모제를 지낸다. 2006년에는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 추모제를 지내기도 했다.

블라디보스토크·우수리스크=안영배 논설위원 ojong@donga.com
#3·1운동 100년#러시아#독립운동#신한촌#일제 학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