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평화헌법 개정을 추구하는 등 일본의 극우파적 정책 회귀의 징후가 노골화하는 가운데 지난해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등이 쓴 책 ‘반일종족주의’는 사회적, 학술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 징용, 식량 수탈 등 일제강점기 주요 쟁점에 대해 학계 인식 및 일반 상식에 반론을 제기한 이 책에 대해 기존 학계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악몽이 재연됐다”며 신랄하게 비판했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가 9일 펴낸 ‘일제의 한국민족말살·황국신민화 정책의 진실’(문학과지성사·사진)은 식민지근대화론을 ‘일본 극우세력의 역사수정주의와 입장을 같이한다’고 논박하며 일제 식민통치의 3대 특징은 사회경제적 수탈, 한국민족 말살, 식민지 무단통치라고 규정한다. 이 책은 이 중 한국민족 말살을 위해 일제가 자행한 각종 정책과 탄압책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점을 짚어낸다. 1만5000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