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무사가 타던 말의 갑옷을 어떻게 복원했을까

  • 뉴스1
  • 입력 2020년 4월 7일 11시 20분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마갑(보존처리 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뉴스1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마갑(보존처리 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뉴스1
신라시대 무사가 타고 타니던 말이 두른 갑옷이 지난 2009년 경북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에서 발견됐다. 당시 말 갑옷은 도굴되지 않은 상태의 완전한 형태를 갖춘 채 출토돼 주목 받았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를 보호하기 위해 보존처리를 함과 동시에 연구를 진행했고, 그렇게 약 10년에 걸친 조사와 연구결과가 끝이 났다. 연구소는 말 갑옷의 고고학적 출토상황과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보고서에 담았고, 이를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C10호 목곽묘 출토 마주·마갑 조사연구 보고서’로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말 갑옷은 목곽 바닥에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목·가슴부분, 몸통부분(130×100㎝), 엉덩이 부분 순의 완전한 형태로 정연하게 깔려 있었다. 재갈, 안장, 등자(발걸이) 등 관련 유물까지 함께 수습돼 신라의 기마문화를 온전히 이해하는 자료가 됐다.

연구소는 말 갑옷을 보존하기 위해 온·습도 유지와 내부오염 방지를 위한 임시 가건물을 설치했으며, 냉난방 등 공조시설을 마련해 최대한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노력했다.

또한 주위 토양에 10~30cm의 냇돌(냇바닥에 오랜 시간 있으면서 물살에 다듬어진 돌)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말 갑옷의 온전한 수습을 위해 사전에 이와 비슷한 성분의 토양을 대상으로 모의 수습실험을 해보기도 했다. 그 결과 28톤에 이르는 말 갑옷과 주변부 토양을 손상 없이 완벽하게 떼어낼 수 있었다.

보고서에는 이런 과정에서 나온 도면과 사진, X-ray(엑스레이) 촬영 결과도 수록됐다. 각 부위에 대한 내용도 고고학 관점에서 상세하게 풀어냈고, 약 18개월이 소요된 말 갑옷 수습의 현장 분위기와 이송과정, 보존처리 과정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또한 보존과학 연구를 토대로 말 갑옷 표면에 붙어있는 견·마 등 직물의 종류를 파악했으며, 더불어 목질 흔적을 토대로 목곽에 사용된 목재가 소나무일 가능성도 확인했다.

보고서에는 말 갑옷과 더불어 말 투구, 말갖춤 일체의 복원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담겼다. 복원을 위해 그 연결방법과 착장방식에 대해 분석했고, 함께 출토된 재갈, 안장, 등자 등 말 갖춤 일체를 종합해 검토했다.

연구소는 이런 종합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실제 재현품도 제작했다고 밝혔다. 사전 작업으로 말 갑옷 조각들과 같은 크기의 플라스틱 복제품을 먼저 제작했으며, 갑옷 크기에 맞는 ‘제주 한라마’를 정해 복제품을 실제로 말에 입혀본 후 그 활동성을 분석하는 작업도 거쳤다.

실제 재현품의 정밀한 착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현존하는 ‘제주 조랑말’의 계측 자료와 월성 해자 유적에서 출토된 말뼈도 함께 분석했다. 복원된 말 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한 말 모형도 갑옷 재현품 착장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와 말 갑옷 재현품으로 올 상반기에 전시를 개최해 학계와 관련 연구자, 일반인들이 고대의 신라 기마문화를 직접 관람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