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8월 24일 조선을 방문한 미국 의원단의 일정은 철저하게 통제됐습니다. 1박2일의 짧은 방문인데다 첫날은 밤에 도착해 경성을 둘러본 시간은 25일 하루뿐이었습니다. 그마저도 조선총독부와 창덕궁 비원 의학전문학교 공업전문학교 등 일제가 안내하는 곳만 따라다녀야 했죠. 의원들은 전날 밤부터 “만세” 소리가 메아리처럼 들리고 상점들이 일제히 문을 닫아 이상하다는 느낌은 가졌을 법합니다.
월남 이상재를 중심으로 한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는 25일 조선인들만의 환영회를 준비했습니다. 미리 회비도 걷고 기념선물도 마련했죠. 하지만 총독부가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니 마음대로 하라’고 의원단에 통보했습니다. 의원단은 비공식 행사인 YMCA 환영회에 무리해서 가야 하나 싶어 불참하기로 했습니다. 미 의원들을 직접 만날 수 있다고 고대했던 청년들의 실망감은 말할 수 없이 컸습니다. 800여 군중은 좀처럼 자리를 떠나지 않았죠.
그런데 뜻밖의 일이 일어났습니다. 의원 한 사람이 돌연 YMCA에 나타난 것입니다. 헐스먼 하원의원이었죠. 그는 일제 경찰의 눈을 피해 혼자 조선인들을 만나러 왔습니다. 실망했던 사람들은 영어로 “후라―(만세)”를 세 번 외치며 열렬히 환영했죠. 헐스먼 의원도 감격에 겨웠는지 즉석에서 짧은 연설을 했습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얼굴을 보건대 여러분도 우리나라 청년같이 향상의 활기와 광채가 가득합니다. 아무쪼록 여러분은 학술과 공업을 힘써서 모든 것을 향상하게 하여 더욱 정의와 인도로 분투하시기 바랍니다.”
동아일보는 이 연설을 소재로 8월 28, 29, 30일자에 3회 사설을 실었습니다. ‘미국 내빈이 전하는 말’이라는 제목의 사설은 조선인들이 희망을 품고 더디더라도 한 발 한 발 전진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군함도, 대포도 없고 비행기도, 자동차도 가지지 않은 나약한 우리 얼굴에 활기와 광채가 가득하다고 한 것은 눈 속에 피어난 매화를 보는듯하다고 했습니다. 찬바람에 떨고 있는 매화 속에는 봄기운이 차오르고 생명의 신비가 움직인다는 것이죠. 비참한 현재에 체념하지 말고 그 안에 감춰진 밝은 미래를 보라는 뜻입니다.
정의와 인도는 한 마디로 인격을 존중하는 일이라고 정리했습니다. 인격을 존중하는 것이 도덕의 근본이고 도덕은 국가의 근본이며 국가는 법률의 근원이라는 것이죠. 우리의 목적이 조선을 좌지우지하거나 동양 패권을 장악하거나 세계를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보호자와 옹호자가 되는 것이라고 할 때 인격 존중이 필수적이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실력이 없는 정의와 인도는 공허할 뿐입니다. 학술과 공업에 힘쓰는 일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사설은 조선인들이 과학을 무시하고 실업을 천시하는 결점을 비판합니다. 그러면서 지식 없이 어떻게 세상을 헤쳐 나가고 재력 없이 어떻게 경쟁할 수 있느냐고 되묻습니다. 사설은 ‘실력양성론’이나 ‘준비론’의 필요성을 독자들에게 분명하게 알린 것입니다.
이는 창간 직후였던 4월 2일자부터 4회 연재한 사설 ‘세계 개조의 벽두를 당하여 조선의 민족운동을 논하노라’와도 연결됩니다. 여기서는 자유 평등 우애를 내세운 프랑스혁명의 정신을 이 땅에서 실현하려면 사회적으로 대대적인 문화운동이 필요하고 각 분야에서 실력을 충실하게 쌓아 민족의 사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고 해서 마냥 서두를 일은 아닙니다. 사설은 ‘욕속부달(欲速不達)’이라는 공자의 말을 소개합니다. 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한다는 뜻이죠.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속담과도 통합니다. 가을의 추수를 바란다면 지금부터 밭을 갈아야 하겠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