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플래시100]“전사자 37명 대 1500명, 사실상 학살”… 조선의 현실은?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5월 5일 11시 40분


코멘트

1920년 9월 20일


플래시백


‘○○인은 10일간에 3차례 ○군과 교전하여 모두 실패하였으니 그 무기는 가련하고 그 장교는 무경험하였다. 제1전에 ○군은 ○군의 대장까지 합하여 600여 군병을 살육하고 200여 명을 포로하였다.’

동아일보 1920년 9월 20일자 1면에 실린 칼럼의 첫 부분입니다. ○으로 표시된 자리에는 차례대로 ‘서장’ ‘영’ ‘영’ ‘서’가 들어갑니다. 서장(西藏)은 티베트를 말하죠. 칼럼은 1903년 기관총으로 무장한 영국 원정대가 괭이 칼 화승총을 들고 저항하는 티베트인들을 무차별 학살한 모습을 전합니다.

그런데 ○ 자리에 ‘조선’ ‘일’ ‘일’ ‘조’라고 넣어도 뜻은 그대로 통합니다. 무라타 연발총을 앞세운 일제가 죽창과 화승총으로 맞서는 동학농민군을 살육하던 상황과 같기 때문이죠. 이 해 8월 30일자부터 시작해 14회로 일단락된 ‘대영과 인도’ 익명 칼럼은 영국이 인도라는 곡식창고를 잃지 않으려고 주변 약소국까지 멋대로 침략하는 만행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10회 차인 위 칼럼은 ‘사실상 이는 전쟁이 아니라 학살이었다 할 수 있으니 영인의 전사자는 단지 37명이고 서장인의 전사자는 모두 1500여 명에 이르렀다.…영국은 무슨 정당한 이유로 서장인의 귀중한 1500의 생령을 도륙하였는가? 자기의 말을 듣지 아니하는 이유로!’라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위키피디아 영문판에는 영국군 사망자가 5명, 티베트인 희생자는 5000여 명이라는 추산치도 보입니다.

이렇게 해외 동향을 다뤘지만 동병상련으로 읽으면 일제에 가혹하게 당하는 조선의 현실이 떠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영국은 인도를 독차지하기 위해 바닷길부터 차단했습니다. 그 통로인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기 위해 이집트를 점령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와 충돌하자 영국은 이집트를, 프랑스는 모로코를 차지하는 것으로 타협하죠. 2회 차는 ‘한 나라의 고유한 토지를 그 나라 인민의 동의를 얻지 않고 제3자가 자유로 처분할 권리가 어디에 있나’라고 분개합니다.

영국은 이제 인도로 가는 육로도 확보하려고 합니다. 인도라는 창고에서 좁쌀 한 알이라도 놓치지 않으려는 악착같은 행태였죠. 자연히 인도의 양 날개인 아프가니스탄과 티베트가 바람 앞에 등불 신세가 됩니다. 3회 차는 ‘영국은 자유정치의 요람이라고 하지만 또 그 손에 죄악의 붉은 피가 가장 많이 묻었다. 가면을 벗겨라. 신사국의 뒷면을 보라’고 촉구합니다.

영국은 1880년까지 이미 4차례나 아프간을 침공했습니다. 러시아까지 기웃거리자 아프간 일각에서 차라리 영국과 합치자는 말이 나왔죠. 하지만 ‘영국에 합하면 우리 지방의 주인은 누가 되느냐 종은 누가 되느냐…우리가 종이 되고 우리가 모두 죽고 우리 지방이 일등국의 일부분이 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우리는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꼬리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라는 독립 의지가 더 강했습니다. 역시 아프간을 빗대 조선인이 하고 싶은 말을 한 겁니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해 아시아에서 서양인 배척 분위기가 커지자 영국은 손안에 넣었던 티베트를 중국에 양보하죠. 군침을 흘리던 러시아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중국은 티베트를 자기 군현으로 삼아버립니다. 주권을 되찾으려 일어선 티베트인들에게 총질까지 하죠. 11회 차는 ‘중국이 스스로 다른 나라의 모멸을 받으면서 어떻게 그 쓰라린 가슴으로 감히 다른 약자를 모멸하는가’라고 아시아인의 신의를 팽개친 중국도 비판합니다.

이밖에 1920년 4월에 13회 연재했던 ‘애란(아일랜드) 문제의 유래’를 비롯해 애급(이집트)의 독립, 비율빈(필리핀)의 독립 요구 등도 단순히 외신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의 독립의지를 높이기 위한 맥락의 기사였습니다.

한편 ‘대영과 인도’ 칼럼은 13회 차부터 인도의 현실을 조명하기 시작했지만 14회 차에 [완] 표시가 없이 중단됩니다. 마무리를 짓지 못한 것은 14회 차가 실린 9월 25일에 1차 무기정간을 당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이진 기자 leej@donga.com

과거 기사의 원문과 현대문은 '동아플래시100' 사이트(https://www.donga.com/news/donga100)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